山무애뱀 뜻
발음:
산-무애뱀【山무애뱀】
[명사]
《동물》 뱀의 한 가지. 어두운 갈색 바탕에 목에서 꼬리까지 양쪽으로 흰 줄이 있고 줄을 따라 검은 점이 흩어져 있다. 한방에서 '화사(花蛇)'라 하며 문둥병, 풍병, 보신 등의 약재로 쓴다.
- 산무애뱀: 산-무애뱀【山무애뱀】[명사]《동물》 뱀의 한 가지. 어두운 갈색 바탕에 목에서 꼬리까지 양쪽으로 흰 줄이 있고 줄을 따라 검은 점이 흩어져 있다. 한방에서 '화사(花蛇)'라 하며 문둥병, 풍병, 보신 등의 약재로 쓴다.
- 망무애반: 망무-애반【茫無涯畔】[명사]아득하게 넓고 멀어 끝이 없음. = 망무제애(茫無際涯). [참고] 일망무제.
- 무애하다: I 무애-하다1 【無涯하다】[형용사]〖여불규칙〗= 무제하다(無際-).I I 무애-하다2 【無碍하다】[형용사]〖여불규칙〗막힘이나 거침이 없다.
- 무장무애: 무장-무애【無障無碍】[명사]아무런 거리낌이 없음.
- 원융무애: 원융-무애【圓融無碍】[명사]《불교》 원융하여 일체의 거리낌이 없음.
- 일망무애: 일망-무애【一望無涯】[명사]= 일망무제(一望無際).
- 종횡무애: 종횡-무애【縱橫無碍】 [-횡-/-휑-][명사]자유자재하여 사면팔방에 걸릴 것이 없음.
- 山모퉁이: 산-모퉁이【山모퉁이】[명사]산기슭의 귀퉁이. = 산갑. [참고] 산모롱이.
- 山모루: 산-모루【山모루】[명사]▷ 산모롱이(山-).* ~ 도는 손의/슬지는(스러지는) 그림자여.
- 山바람: 산-바람【山바람】 [-빠-][명사]1 산에서 부는 바람. = 산풍(山風). [참고] 들바람. 바닷바람.2 주로 밤에, 산마루에서 산기슭으로 내리부는 바람. = 산풍(山風). 재넘이.
- 山모롱이: 산-모롱이【山모롱이】[명사]산모퉁이의 휘돌아 가는 부분.* 방금 ~를 돌아가는 기차의 긴 행렬.*= 메모루.
- 山박쥐: 산-박쥐【山박쥐】 [-빡쮜][명사]《동물》 = 멧박쥐.
- 山매자나무: 산매자-나무【山매자나무】[명사]《식물》 진달랫과의 낙엽활엽관목. 높이 1m 정도. 잎은 어긋나고 톱니가 있다. 초여름에 담홍색 꽃이 피며, 가을에 둥근 열매가 붉게 익는다. 열매는 먹는다. 관상용으로 널리 심는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山발치: 산-발치【山발치】[명사]산의 아랫부분이 되는 곳.* ~에 있는 마을.⇒ 산기슭(山-).
- 山매자: 산-매자【山매자】[명사]산매자나무의 열매.
- 山밤나무: 산-밤나무【山밤나무】 [-빰-][명사]1 산에서 저절로 자란 밤나무.2 《식물》 참나뭇과의 갈잎큰키나무. 보통 밤보다 작은 열매가 열리는데 먹거나 약재로 쓰며, 재목은 땔감으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