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새질사위 뜻
발음:
가새질-사위
[명사]
《무용》 (전라도 무당춤에서) 지전을 가지고 몸 앞으로 두 팔을 엇걸면서 흔드는 동작.
- 가새: I 가새1 [명사]▷ 가위1 .I I 가-새2 [명사] (동해 바닷가에서) 동쪽의 뭍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일컫는 말.
- 사위: I 사위1 [명사]미신으로 마음에 꺼림. [참고] 구기3 .[파생동사] 사위-하다1 I I 사위2 [명사]1 윷놀이할 때에 목적한 끗수.2 = 큰사위2 .I I I 사위3 [명사]딸의 남편. = 여서(女壻). 옥윤. [참고] 며느리.I V 사위4 【斜位】[명사]《생물학/생리학》 태아가 어머니의 뱃속에 비스듬히 놓인 위치.V 사위5 【詐僞】[명사]양심을
- 북새질: 북새-질 [-쌔-][명사]야단스럽게 부산을 떨며 법석이는 짓.[파생동사] 북새질-하다
- 속새질: 속새-질 [-쌔-][명사]물건을 반드럽게 하려고 속새로 문지르는 짓. = 사포질.[파생동사] 속새질-하다
- 자새질: 자새-질[명사]실이나 줄을 감거나 드리려고 자새를 돌리는 일.[파생동사] 자새질-하다
- 가새[車车]: 가새-차【가새車】[명사]▷ 가위다리차(-車).
- 가새帘: 가새-염【가새簾】[명사]《문학》 (한시에서) 안짝과 바깥짝의 짝수 글자의 음운의 높낮이를 서로 어긋나게 맞추는 법. [참고] 염.
- 가새标: 가새-표【가새標】[명사]부정의 뜻이나 빠진 글자 따위를 나타내는 기호 '×'의 이름. 수학에서는 '곱셈표'로 쓴다. = 가위표(-標). 횡십자(橫十字).⇔ 동그라미표(-標). [참고] 숨김표.
- 가새阵: 가새-진【가새陣】[명사](호남 농악에서) 대포수가 영기를 도둑질하여 잡색들을 데리고, 벌린 가위 모양으로 갈라져 나가 방울진을 치고, 상쇠는 반대로 갈라져 나가 진을 치는 놀이.
- 가새뽕: 가새-뽕[명사]《식물》 뽕나뭇과의 갈잎큰키나무. 잎은 넓은 알꼴로 깊게 갈라지며, 꽃은 6월에 피고, 씨열매는 7~8월에 검은 자줏빛으로 익는다. 잎은 먹거나 누에의 먹이로 쓴다.
- 가새염: 가새-염【가새簾】[명사]《문학》 (한시에서) 안짝과 바깥짝의 짝수 글자의 음운의 높낮이를 서로 어긋나게 맞추는 법. [참고] 염.
- 가새접: 가새-접[명사]두 나무의 상처 난 부분을 마주 대어 묶어 붙이는 접. = 기접.
- 가새진: 가새-진【가새陣】[명사](호남 농악에서) 대포수가 영기를 도둑질하여 잡색들을 데리고, 벌린 가위 모양으로 갈라져 나가 방울진을 치고, 상쇠는 반대로 갈라져 나가 진을 치는 놀이.
- 가새차: 가새-차【가새車】[명사]▷ 가위다리차(-車).
- 가새표: 가새-표【가새標】[명사]부정의 뜻이나 빠진 글자 따위를 나타내는 기호 '×'의 이름. 수학에서는 '곱셈표'로 쓴다. = 가위표(-標). 횡십자(橫十字).⇔ 동그라미표(-標). [참고] 숨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