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금 뜻
가야-금【伽倻琴】
[명사]
《음악》 = 가얏고.
- 가야금산조: 가야금-산조【伽倻琴散調】 [-산-][명사]《음악》 가야금으로 장구 반주에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독주곡. [참고] 산조(散調).
- 야금: I 야금1 【冶金】 [야:-][명사]《공업/공학》 쇳돌 따위에서 공업적으로 쇠붙이를 골라내거나 합금을 만드는 일.[파생동사] 야금-하다I I 야금2 【夜禽】 [야:-][명사]부엉이 따위와 같이 밤에만 활동하는 새.I I I 야금3 【夜禁】 [야:-][명사]인경 친 뒤에 통행을 금함.I V 야금4 【野禽】 [야:-][명사]《동물》 = 들새.
- 가야: 가야【伽倻/伽耶/加耶】 (취음加耶/伽耶/伽倻)[명사]《역사》1 = 가야국(伽倻國)1.2 = 가락국(駕洛國).
- 야금야금: 야금-야금 [-냐-/-그먀-][부사]야금거리는 모양.[파생동사] 야금야금-하다
- 야금술: 야금-술【冶金術】 [야:-][명사]야금하는 방법이나 기술.
- 야금학: 야금-학【冶金學】 [야:-][명사]야금에 관한 원리, 방법, 기술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 야금야금하다: 야금야금-하다 [-냐-/-그먀-][타동사]〖여불규칙〗= 야금거리다.
- 가야국: 가야-국【伽倻國】[명사]《역사》1 신라 유리왕 19(42)년에 변한의 땅에 김수로왕의 형제 여섯 사람이 세운 여섯 나라(금관가야, 대가야, 소가야, 아라가야, 성산가야, 고령가야). (42~562). = 가라(加羅/伽羅/迦羅)1. 가라국(加羅國). 가락3 (駕洛)1. 가락국(駕洛國)2. 가량국(加良國)1. 이야. 구야. 구야국. [참고] 육가야.2 =
- 가야미: 가야미[명사]《동물》 개미3 .
- 가야지: 가야지[명사] 버들개지.
- 대가야: 대-가야【大伽倻】 [대:-][명사]《역사》 신라 유리왕 19(42)년에 이진아시가 경상북도 고령군 땅에 세운 나라. 진흥왕 23(562)년 16대 520년 만에 신라에 합병되었다. (42~562).
- 소가야: 소-가야【小伽倻】 [소:-][명사]《역사》 신라 유리 임금 19(42)년에 경상남도 고성군 주위에 세워진 나라. 법흥왕 19(532)년에 신라에 병합되었다. (42~532). = 가야국(伽倻國)3. [참고] 육가야.
- 육가야: 육-가야【六伽倻】 [-까-][명사]《역사》 변한의 땅 낙동강 하류 유역에 있던 여섯 가야. 아라가야, 고령가야, 대가야, 성산가야, 소가야, 금관가야.
- 야금거리다: 야금-거리다[타동사]1 맛나게 조금씩 자꾸 씹다.2 조금씩 자꾸 탐내어 가지거나 써 없애거나 하다. = 야금대다. 야금야금하다.
- 야금대다: 야금-대다 [-대:-][타동사]= 야금거리다.
예문
예문 더보기: 다음>- 여기 가야금 소리랑 잘 어울리네요
- 카부 베르데 출신의 테오필루 샹트르, 가야금 연주자 정민아.
- 그는 담임선생에게 가야금 대신 무용을 하게 해달라고 졸랐다.
- 기껏해야 거문고와 가야금, 그리고 후대의 단순한 날라리 정도.
- 기생 ‘매창’은 가야금 소리에 맞춰 고혹적인 춤을 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