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제본 뜻
가-제본【假製本】
[가:-]
[명사]
책을 임시로 매어 만듦, 또는 그렇게 만든 책.
+모두 보이기...
- 가제본하다: 가제본-하다【假製本하다】 [가:-][타동사]〖여불규칙〗⇒ 가제본(假製本).
- 제본: 제본【製本】 [제:-][명사]1 만든 물건의 본보기.2 책을 매어서 꾸밈. = 제책(製冊).
- 가제: I 가제1 【加除】[명사]더하는 것과 빼는 것.[파생동사] 가제-하다1 I I 가제2 【家弟】[명사]남에게 '자기의 아우'를 일컫는 말. = 사제5 (査弟)1.⇔ 가형2 (家兄).I I I 가제3 【假製】 [가:-][명사]임시로 만듦.[파생동사] 가제-하다2 I V 가제4 【假諦】 [가:-][명사]《불교》 삼제의 하나. 모든 현상은 서로 의존하여 일어나
- 복제본: 복제-본【複製本】 [-쩨-][명사]복제한 책이나 작품.* 비디오 불법 ~.
- 상제본: 상-제본【上製本】 [상:-][명사]▷ 양장3 (良將)2.
- 가제식: 가제-식【加除式】[명사]공책이나 장부 따위의 낱장을 자유로이 끼웠다 뺐다 할 수 있게 된 방식.* ~ 노트.
- 개가제: 개가-제【開架制】[명사]열람자에게 서가를 개방하여 자유롭게 책을 찾아볼 수 있게 하는 도서관 운영 제도.⇔ 폐가제(閉架制).
- 폐가제: 폐가-제【閉架制】 [폐:-/페:-][명사]도서관에서 서가를 공개하지 않고 일정한 절차에 따라서 책을 빌려 주는 제도.⇔ 개가제(開架制).
- 허가제: 허가-제【許可制】[명사]법률행위 특히 영업이나 산업 행위에 있어서 행정관청 따위의 허가를 얻어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 제본을 다시 하다: 다시묶다
- 가제하다: I 가제-하다1 【加除하다】[타동사]〖여불규칙〗⇒ 가제1 (加除).I I 가제-하다2 【假製하다】 [가:-][타동사]〖여불규칙〗⇒ 가제3 (假製).
- 가정할 수 있는: 그럴 듯한; 상상할 수 있는
- 가정학습: 가정-학습【家庭學習】 [-씁][명사]《교육》 학교에서 내어 준 과제를 통하여 집에서 익히는 공부.
- 가정학: 가정-학【家政學】[명사]집안 살림을 꾸려 가는 데 필요한 것들을 연구하는 학문.
- 가정하다: 가정-하다【假定하다】 [가:-][자동사][타동사]〖여불규칙〗⇒ 가정5 (假定).* 그렇다고 가정하더라고 나는 따를 수 없다.
- 가져가다: 가져-가다 [-저-][타동사]〖거라불규칙/~가거라〗1 (무엇을) 다른 곳으로 옮겨 가다.* 책을 ~.*눈길을 ~.2 어떤 상태로 끌어 가다.* 토론은 결국 표결로 가져갔다.
예문
- 김 씨는 초판과 완성판 사이에 수시로 내용을 바꾼 가제본 책을 만들었으며 이를 지인들에게만 나눠 줬다.
- 그래서 제가 그림을 왼쪽과 오른쪽에 다 넣은 가제본 책을 각각 만들어 대전 계룡문고 앞에서 설문조사까지 했어요.
- ‘31개월간 北억류’ 경험담 책으로 펴낸 김동철 박사지난달 30일 서울 종로구 일민미술관에서 만난 김동철 박사가 “북한 주민의 비참한 실상과 핵·생화학 무기 개발 야욕을 널리 알리고 싶었다”며 자신의 북한 체험을 정리한 책 ‘경계인’의 가제본 판을 들어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