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문장 뜻
겹-문장【겹文章】
[겸-]
[명사]
《언어학》 주어와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 문장'(* 산은 높고, 물은 맑다.)과 '안은 문장'( 향기가 좋은 꽃이 만발하였다.)으로 나뉜다.
+모두 보이기...
- 문장: I 문장1 【文章】[명사]1 《언어학》 한 가지의 짜인 생각을 글로 나타내는 언어 행위의 기본 단위. 말하는 이의 태도나 방식에 따라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따위가 있고, 짜임새에 따라 '홑문장'과 '겹문장' 따위가 있다. = 글월. 문6 (文)1. 문사4 (文詞/文辭)1. 월1 .2 어떤 생각이나 내용을 글자로 나타낸 것.*
- 겹문자: 겹-문자【겹文字】 [겸-짜][명사]= 겹말.
- 난문장: 난-문장【難文章】[명사]이해하기 힘든 문장. = 난문1 (難文).
- 대문장: 대-문장【大文章】 [대:-][명사]썩 훌륭하게 지은 글, 또는 그런 글을 짓는 사람.* 고산 윤선도는 조선 시조의 ~이다.
- 문장가: 문장-가【文章家】[명사]글을 잘 짓는 사람. = 문장1 (文章)3.
- 문장도: 문장-도【文章道】[명사]글을 짓는 태도나 법칙.
- 문장력: 문장-력【文章力】 [-녁][명사]글을 짓는 능력.
- 문장론: 문장-론【文章論】 [-논][명사]1 《문학》 문장의 짜임새나 쓰는 요령 등에 관한 논설.2 《언어학》 = 통사론(統辭論).
- 문장법: 문장-법【文章法】 [-뻡][명사]1 문장을 짓는 방법.2 글의 구조, 종류, 형식, 방법 등에 관한 법칙.
- 문장부: 문-장부【門장부】 [-짱-][명사]《건축》 널문짝 한쪽 끝의 아래 위로 상투처럼 내밀어 문둔테 구멍에 끼우게 된 것.
- 문장어: 문장-어【文章語】[명사]= 글말.
- 문장접: 문장-접【文章接】[명사]조선 때, 독서당에서 공부하던 문신.
- 부문장: 부-문장【副文章】 [부:-][명사]《언어학》 = 종속문(從屬文).
- 수문장: 수문-장【守門將】[명사]1 궁궐의 문을 수위하던 무관의 벼슬.2 《민속》 = 문신3 (門神).
- 존문장: 존문-장【存問狀】 [-짱][명사]= 존문편지(存問便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