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잡이 뜻
고기-잡이
[명사]
1 물고기를 잡는 일. = 어렵(漁獵)1. 어로1 (漁撈).
2 고기 잡는 일을 하는 사람. = 어부1 (漁夫/漁父).
+모두 보이기...
- 고기잡이 그물: 어망; 그물
- 고기잡이배: 고기잡이-배[명사]= 고깃배.
- 고기잡이하다: 고기잡이-하다[자동사]〖여불규칙〗⇒ 고기잡이.
- 잡이: I 잡-이[명사]1 '손잡이'의 준말.2 농악, 민속극, 굿 들에서 악기를 다루는 사람.* ~들이 풍악을 울리고 잡색들이 춤을 추었다.3 [의존] ('-ㄹ' 꼴 아래에 쓰이어) 무엇을 할 만한 대상.* 그는 상대할 ~가 못 된다.4 = 주12 (註/注).I I -잡이[접미사]1 (고기 따위를) 잡는 일, 또는 그 사람.* 고기~.2 (풍물이나 농기구 따
- 고기: I 고기1 [명사]1 먹거리가 되는 동물의 살 따위.* ~ 반찬.*~를 좋아하다.2 '물고기'의 준말.* ~를 기르다.*~를 낚다.*연못에 ~가 많다.3 '몸이나 살'을 낮잡아 일컫는 말. [참고] 고기 값을 하다.I I 고기2 【顧忌】[명사]뒷일을 염려하고 꺼림.[파생동사] 고기-하다1 I I I 고기3 【古記】 [고:-][명사]옛적의 기록.I V 고
- 경기잡가: 경기-잡가【京畿雜歌】 [-까][명사]《음악》 조선 말엽 이후 서울 지방의 기녀들 사이에 불린 긴 노래.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집장가, 소춘향가, 선유가, 형장가, 평양가, 달거리, 십장가, 출인가, 방물가 등의 열두 가지가 대표적이다. = 긴잡가(-雜歌). 십이잡가.
- 三잡이: 삼-잡이【三잡이】[명사]《음악》 피리, 젓대, 해금을 연주하던 사람들.
- 铳잡이: 총-잡이【銃잡이】[명사]총을 잘 쏘거나 총을 쥐고 있는 사람.
- 감잡이: I 감-잡이1 [감:-][명사]1 기둥과 들보를 검쳐 대고 못을 박는 쇳조각. = 감잡이쇠. 등자쇠. 등자철.2 대문 문장부에 감아 박는 쇠. = 감잡이쇠. 등자쇠. 등자철.3 '낫1 '의 심마니말.I I 감-잡이2 [감:-][명사](남녀가) 동침할 때 쓰는 수건.
- 겉잡이: 겉-잡이 [걷짭-][명사]《음악》 = 바깥차비.
- 길잡이: 길-잡이[명사]1 길을 인도해 주는 사람.* ~를 앞세워 산길을 갔다.*= 길라잡이.*[참고] 길나장이.2 방향을 바로잡아 나가는 데 도움이 되는 사물.* 북두칠성을 ~로 하여 항해를 했다.3 이끌어 주는 지침.* 성공의 ~.*합격의 ~.*~ 책.
- 꿩잡이: 꿩-잡이[명사]1 꿩을 잡는 일.2 꿩을 잡는 사람.
- 다잡이: 다잡-이[명사]늦추었던 것을 바싹 잡죄는 일.[파생동사] 다잡이-하다
- 돌잡이: 돌-잡이[명사]1 돌날에 돌상을 차려 놓고, 아이로 하여금 차려 놓은 것들 가운데 마음대로 골라잡게 하는 일.2 = 돌쟁이.[파생동사] 돌잡이-하다
- 둘잡이: 둘-잡이 [둘:-][명사]1 한꺼번에 둘을 잡는 일. = 양득(兩得).2 장기에서, 말 하나를 죽이고 상대방의 말 둘을 잡는 일, 또는 그러한 수.3 《체육》 = 병살(倂殺).[파생동사] 둘잡이-하다
예문
예문 더보기: 다음>- 고기잡이 어부의 노동요부터 아낙네의 신세 한탄 노래 등이 고스란히 담겼다.
- 소년은 비록 다른 배를 탔지만 노인의 신념이나 고기잡이 기술을 의심하지 않았습니다.
- 고유가, FTA로 고기잡이 못해먹겠다…너도나도 폐업신청
- 그들은 울릉도 앞마당인 우산도에 고기잡이 나가면서 이 섬이 '돌섬'이라는 뜻의 호남방언으로 '독섬'이라 호칭했다.
- 가족 캠프, 선상 투어, 맨손 고기잡이, 가족 무인도 체험, 해변 가요제, 음악 공연이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