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로 뜻
고-대로
[부사]
'그대로'를 얕잡거나 귀엽게 이르는 말. ~ 따라 하다.
- 고대: I 고대1 [명사]'깃고대'의 준말.I I 고대2 【苦待】[명사]몹시 기다림. [참고] 학수고대.[파생동사] 고대-하다I I I 고대3 【高臺】[명사]높이 쌓은 대.I V 고대4 【古代】 [고:-][명사]1 옛 시대.2 《역사》 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 우리 나라는 단군 시대부터 신라가 망하던 때까지. 중국은 태초로부터 진나라 때까지. 서양은 태고로부
- 대로: I 대로1 【大老】 [대:-][명사]나이나 사회적 지위 또는 덕이 높은 사람.I I 대로2 【 [대:-] ([명사]'대노'의 변한말.I I I 대로3 【大路】 [대:-][명사]1 = 큰길.* ~로 나서다.⇔ 소로1 (小路).2 어떤 목적을 향하여 나아가는 활동의 큰 방향.I V 대로4 【大鷺】 [대:-][명사]《동물》 '대백로'의 준말.V 대로5 【代勞
- 고대고대: 고대-고대【苦待苦待】[부사]몹시 기다리고 기다리는 모양.* 기다리던 사람.
- 고대극: 고대-극【古代劇】 [고:-][명사]《연극》 고대에 있었던 연극.
- 고대사: 주지의사실
- 고대인: 고대-인【古代人】 [고:-][명사]고대에 살던 사람.
- 깃고대: 깃-고대 [긷꼬-][명사]옷깃을 붙이는 자리. 두 어깨솔기 사이의 목 뒤에 닿는 부분이다. [준말] 고대1 .
- 뒷고대: 뒷-고대 [뒤:꼬-/뒫:꼬-][명사]깃고대의 뒷부분, 또는 깃고대의 뒷부분이 닿는 목의 뒤쪽.
- 상고대: I 상고대1 [명사]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 목가(木稼). 무송(霧淞). 수가(樹稼). 수개(樹介). 수괘3 (樹卦). 수빙2 (樹氷). 수상13 (樹霜).I I 상고-대2 【上古代】 [상:-][명사]《역사》 = 상고시대(上古時代).
- 원고대: 교정 조수; 원고 누르개; 등본소유권자
- 태고대: 태고-대【太古代】[명사]《지리/지학/땅이름》 = 시원대(始原代).
- 평고대: 평고-대【平高臺】[명사]《건축》 처마에 얹힌 서까래 끝에 가로로 길게 얹힌 나무.
- 간대로: 간대로[부사]1 그리 쉽사리(쉽게).* ~ 되지는 않을 것이다.2 함부로, 또는 되는 대로.
- 그대로: 그-대로[부사]1 본디 모양대로.* 생긴 ~ 그리다2 본디대로 고스란히.* ~ 남아 있다.*~ 말하다.3 그냥 그렇게.* ~ 갈 수는 없다.*[작은말] 고대로.
- 대대로: I 대-대로1 【大對盧】 [대:-][명사]고구려 때 첫째 관등, 또는 그 벼슬로서 국정을 도맡던 수상.I I 대대로2 [부사]형편을 보아서 되어 가는 대로.* ~ 하지, 걱정할 것 없네.I I I 대대-로3 【代代로】 [대:-][부사]여러 대를 계속하여.* 조상 ~ 살아온 고장.
예문
예문 더보기: 다음>- 그럼 그냥 고대로 다시 가지그래, 제프.
- 데모하는 장면이 눈에 고대로 생생하게 다 보인다카이!
- 스와핑의 역사는 고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 바로 두산이 2007년 에스케이 와이번스와 잠실야구장에서 한국시리즈 5차전을 치르는 와중에 고대로 당한 적이 있다.
- 약 2000년 전의 고대로 돌아갈 수 있도록 유적을 잘 복원해 역사교육의 현장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