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운야학 뜻
발음:
고운-야학【孤雲野鶴】
[-냐:-]
[명사]
('외따로 떠 있는 조각 구름과 들에 깃들이는 두루미'라는 뜻으로) '벼슬을 하지 않고 한가로이 숨어사는 선비'를 비유하는 말.
+모두 보이기...
- 한운야학: 한운-야학【閑雲野鶴】 [-냐:-][명사]1 한가히 떠도는 구름과 들에서 노는 학.* ~을 벗해서 살 만한 초속의 경지.2 '아무 매인 데 없이 한가로이 지내는 것'을 이르는 말.
- 야학: I 야학1 [야:-][명사]《의학》 밤이 되면 앓는 학질.[파생동사] 야학-하다1 I I 야학2 【夜學】 [야:-][명사]1 밤에 글을 배움.⇔ 주학(晝學).2 《교육》 = 야간학교(夜間學校).[파생동사] 야학-하다2 I I I 야학3 【野鶴】 [야:-][명사]《동물》 = 두루미1 .
- 고운: 고운【孤雲】[명사]외따로 떠 있는 조각 구름.
- 야학교: 야학-교【夜學校】 [야:-꾜][명사]《교육》 = 야간학교(夜間學校).
- 고운대: 고운-대 [고:-][명사]토란의 줄거리. [준말] 곤대.
- 고운때: 고운-때 [고:-][명사]보기에 그다지 흉하지 않을 정도로 조금 묻은 때.* ~가 묻은 나들이옷.*~가 오르다.*[준말] 곤때.
- 고운매: 고운-매 [고:-][명사]고운 맵시나 모양새.* 달님이는 마음이 고운 것 못지않게 그 생김새가 빼어난 것은 그것이야말로 정말 타고난 ~라고 혀를 차지 않는 이가 없었다.
- 고운알: 미립
- 야학하다: I 야학-하다1 [야:하카-][자동사]〖여불규칙〗⇒ 야학1 .I I 야학-하다2 【夜學하다】 [야:하카-][자동사]〖여불규칙〗⇒ 야학2 (夜學).
- 고운 정 미운 정: 오래 사귀는 동안에 뜻이 맞기도 하고 안 맞기도 하였으나 그런 저런 경우를 다 겪으면서 깊이 든 정. = 미운 정 고운 정(⇒ 밉다).
- 마음씨 고운: 자애로운; 동정심 있는
- 미운 정 고운 정: 오래 사귀는 동안에 뜻이 안 맞기도 하고 맞기도 하였으나 그런 저런 경우를 다 겪으면서 깊이 든 정. = 고운 정 미운 정(⇒ 곱다6 ).
- 선율이 고운: 선율적인; 선율의; 선율이 아름다운
- 외며느리 고운 데 없다: (시어머니는 원래 며느리를 밉게 보기 마련인데) 외며느리는 다른 며느리와 비교해 볼 수도 없기에 언제나 밉게 보일 수밖에 없다는 말.
- 고원: I 고원1 【高原】[명사]높은 지대에 이루어진 벌판.* ~ 지대.I I 고원2 【高遠】[명사]《미술》 산수화를 그릴 때 산기슭에서 산 꼭대기를 올려다보는 식으로 대상을 그리는 방법. [참고] 삼원4 .I I I 고원3 【雇員】[명사]관청에 고용되어 관리의 사무를 돕는 임시 또는 하급 직원.I V 고원4 【故園】 [고:-][명사]1 옛 뜰.2 = 고향(故
- 고원의: 고위의; ...의 높이의; 높은 곳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