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수응의 뜻
발음:
구수-응의【鳩首凝議】
[-응:의/-응:이]
[명사]
= 구수회의(鳩首會議).
+모두 보이기...
- 구수응의하다: 구수응의-하다【鳩首凝議하다】 [-응:의-/-응:이-][자동사]〖여불규칙〗⇒ 구수응의(鳩首凝議).
- 수응: 수응【酬應】[명사]남의 요구에 응함.[파생동사] 수응-하다
- 구수: I 구수1 【仇讐】[명사]= 원수4 (怨讐).I I 구수2 【丘首】[명사](여우는 죽을 때 살던 언덕 쪽으로 머리를 둔다는 데서 나온 말로)1 '근본을 잊지 않음'의 뜻.2 '고향을 생각함'의 뜻.I I I 구수3 【拘囚】[명사]= 수금3 (囚禁).[파생동사] 구수-하다1 구수-되다I V 구수4 【口受】 [구:-][명사]직접 말로 하는 것을 받아 들음.
- 감응의: 반응을 유발하는; 유도의
- 수응하다: 수응-하다【酬應하다】[자동사]〖여불규칙〗⇒ 수응(酬應).
- 구수닭: 구수-닭 [-닥][명사]얼룩점이 박힌 닭.
- 구수왕: 구수-왕【仇首王】[명사]《역사》 백제 제6대 임금. 이름은 귀수(貴須). 초고왕의 태자. (재위 214~234).
- 구수죽: 구수-죽【口數粥】 [구:-][명사]《민속》 섣달 스무 닷샛날 밤에 쑤어 온 식구가 다 같이 먹는 붉은 팥죽.
- 구수히: 구수-히[부사]구수하게.⇒ 구수하다4 .
- 전방조응의: 성찬식의
- 흡열반응의: 흡열성의
- 구수되다: 구수-되다【拘囚되다】 [-되-/-뒈-][자동사]⇒ 구수3 (拘囚).
- 구수하다: I 구수-하다1 【拘囚하다】[타동사]〖여불규칙〗⇒ 구수3 (拘囚).I I 구수-하다2 【口受하다】 [구:-][타동사]〖여불규칙〗⇒ 구수4 (口受).I I I 구수-하다3 【口授하다】 [구:-][타동사]〖여불규칙〗⇒ 구수5 (口授).I V 구수-하다4 [형용사]〖여불규칙〗1 (맛이나 냄새가) 잘 끓은 보리차나 숭늉 따위와 같다.* 구수한 숭늉.*구수한 흙
- 구수회의: 구수-회의【鳩首會議】 [-회:의/-훼:이][명사](비둘기들이 머리를 모으듯이) 여럿이 모여 머리를 맞대고 의논하는 회의. = 구수응의(鳩首凝議).[파생동사] 구수회의-하다
- 근구수왕: 근구수-왕【近仇首王】 [근:-][명사]《역사》 백제의 제14대 임금. 이름은 수(須). 근초고왕의 아들. (재위 375~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