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슬갱기 뜻
발음:
구슬-갱기
(<구슬감기)
[명사]
짚신 총갱기의 하나.
- 갱기: I 갱기1 [명사]1 '신생기'의 준말.2 '낫갱기'의 준말.I I 갱기2 【更起】[명사]다시 일어나거나 다시 일으킴.* ~를 못하다.⇒ 재기3 (再起).[파생동사] 갱기-하다I I I 갱기3 【羹器】 [갱:-][명사]= 갱지미.I V 갱기4 [명사]▷ 감개1 .V 갱기5 [명사]《식물》 (함경) ▷ 감자2 (甘蔗).
- 구슬: 구슬[명사]1 보석이나 유리 따위로 동그랗게 만든 물건.* 금~.*옥~.*유리 ~.*~을 굴리다.*~을 꿰다.2 물 따위가 방울로 맺힌 것.* 이슬이 ~을 맺었다.*~ 맺힌 땀.3 '보배스럽게 아름답고 귀중한 것'을 비유하는 말.* ~ 같은 글씨.*내 아시에 형제 있어, 부모께서 두 ~로 아시더니.*[참고] 주옥.
- 낫갱기: 낫-갱기 [낟깽-] ([명사]낫자루에 둘러 감은 쇠.
- 뒷갱기: 뒷-갱기 [뒤:깽-/뒫:깽-][명사]짚신 또는 미투리의 도갱이를 감아서 쌈, 또는 그런 재료.
- 신갱기: 신-갱기 [-깽-] ([명사]신의 총갱기와 뒷갱기를 통틀어 일컫는 말. [준말] 갱기1 1.
- 앞갱기: 앞-갱기 [압깽-][명사]'총갱기'를 '뒷갱기'에 맞대어 일컫는 말.
- 총갱기: 총-갱기 ([명사]짚신이나 미투리의 총의 고를 낱낱이 당감잇줄에 감아 돌아가는 끄나풀. [참고] 앞갱기.
- 구슬구슬: 구슬-구슬[부사](밥이) 질지도 되지도 않고 알맞은 모양. [작은말] 고슬고슬.
- 갱기하다: 갱기-하다【更起하다】[자동사]〖여불규칙〗⇒ 갱기2 (更起).
- 葛구슬: 갈-구슬【葛구슬】[명사]칡의 열매.
- 银구슬: 은-구슬【銀구슬】[명사]은으로 만든 구슬.
- 갈구슬: 갈-구슬【葛구슬】[명사]칡의 열매.
- 구슬눈: 구슬-눈 [-룬][명사]《식물》 나릿과 식물의 잎겨드랑이에 생기는 둥글고 검은 자줏빛의 눈. 여기서 싹이 돋는다. = 구아1 (球芽).
- 구슬덩: 구슬-덩[명사]오색 구슬을 꿰어 만든 발로 꾸민 공주나 옹주가 타던 가마.
- 구슬땀: 구슬-땀[명사]구슬처럼 방울방울 맺힌 땀. = 주한(珠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