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장전 뜻
권리-장전【權利章典】
[궐-]
[명사]
《법률》《역사》 영국에서 1689년 의회에서 제정된 법률. 권리선언을 확인하고, 의회의 승인 없이 법률의 정지나 면제를 할 수 없으며, 의회 안에서의 언론 자유와 왕위 계승의 순서, 자격 등을 규정하였다. [참고] 권리선언.
+모두 보이기...
- 장전: I 장전1 【長田】[명사]마위전의 한 가지.I I 장전2 【長箭】[명사]1 = 긴작.⇔ 단전3 (短箭).2 《건축》 = 장살1 (長-).I I I 장전3 【莊田】[명사]장원에 딸린 전지.I V 장전4 【章典】[명사]= 전장8 (典章).* 권리~.V 장전5 【帳前】[명사]1 임금이 들어가 있는 장막의 앞.2 장수의 앞.V I 장전6 【帳殿】[명사]임시로
- 권리: 권리【權利】 [궐-][명사]어떤 행동을 하거나 이익을 누릴 수 있는 능력이나 자격.* ~를 주장하다.*~를 행사하다.*누구에게나 발언할 ~가 있다.*그 땅의 ~가 다른 사람에게 넘어갔다.⇔ 의무2 (義務).
- 내장전: 내장-전【內莊田】 [내:-][명사]고려 때 왕실에서 직접 관할하던 토지. 왕실 제정의 기본이 되었으며 내장택에서 관리하였다. = 장처전(莊處田).
- 연장전: 연장-전【延長戰】[명사]《체육》 운동경기에서, 정해진 시간이나 횟수 안에 승부가 판가름나지 않을 때, 시간이나 횟수를 연장하여 계속하는 경기.
- 장전기: 달구; 메; 치는 막대; 박는사람
- 장전자: 적하기; 로더; ...장전식 초; 짐을 싣는 사람
- 권리 침해: 왕위 친탈
- 권리금: 권리-금【權利金】 [궐-][명사]《법률》 어떤 권리나 이익을 넘겨주는 대가로 주고받는 돈. 이를테면, 부동산의 임대차 계약에서 임대료 이외 위치나 영업상의 특수 이익에 대한 값으로 치르는 돈 같은 것.
- 권리서: 권리-서【權利書】 [궐-][명사]소유권의 등기 서류.
- 권리자: 권리-자【權利者】 [궐-][명사]《법률》 권리를 가진 사람.
- 권리주: 권리-주【權利株】 [궐-][명사]《경제》 주식회사를 세운 뒤, 또는 자본을 늘린 뒤 등기하기 전에 매매의 대상이 되는 주식.
- 권리증: 권리-증【權利證】 [궐-쯩][명사]《법률》 (부동산에 관한 권리를 증명하는 문서인) 등기필증.
- 권리질: 권리-질【權利質】 [궐-][명사]《법률》 (채권, 주식, 무체 재산권 따위의) 재산권을 목적으로 하는 질권.
- 요리장: 요리법; 주방
- 처리장: 처리-장【處理場】 [처:-][명사]처리하는 곳.* 하수 ~.*오물 ~.
예문
예문 더보기: 다음>- 신사 숙녀 여러분 전 여기 '미 헌법'과 '권리장전' 사본을 들고 있습니다 거의 분명 위대한 우리나라의 역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두 문헌입니다
- 올해 권리장전 페스티벌은 14개 작품을 선보인다.
- 마그나카르타, 권리청원, 권리장전 등이 헌법적 규율을 담고 있으며 관습에 따른 사법적 결정이 헌법적 지위를 얻는다.
- 의회 민주주의의 시초로 꼽히는 1215년 ‘마그나 카르타’, 1689년 권리장전, 1721년 입헌군주제 도입에 이르기까지 영국 왕실은 자신들의 권력과 영향력을 스스로 내려놓으며 오랜 세월 존속해 왔다.
- 그는 "민주주의 발상지 영국의 '권리장전', 미국의 독립선언서, 프랑스의 1789년 혁명으로 민주주의가 꽃 폈다"며 "영국과 미국에 민주주의가 도입된지 200년, 300년이 됐는데, 독재자가 출연했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