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산꽃차례 뜻
기산-꽃차례
[-꼳-]
[명사]
《식물》 꽃대의 꼭대기에 한 개의 꽃이 피고, 그 꼭지 아래에 꽃꼭지가 갈려 나와 꽃이 달리고, 또 그 꽃 아래에 꽃꼭지가 생겨 층으로 피는 꽃 모양. 별꽃, 패랭이꽃 따위. = 기산화서.
+모두 보이기...
- 단산꽃차례: 단산-꽃차례 [-꼳-][명사]《식물》 취산꽃차례의 한 변태로, 꽃자루가 없는 잔꽃이 많이 모여 다보록하게 피는 꽃 모양. 수국 따위. = 단산화서.
- 취산꽃차례: 취산-꽃차례 [취:-꼳-][명사]《식물》 유한꽃차례의 한 가지로 미나리아재비, 자양화 따위와 같이 갈라져 각 꽃대마다 꼭대기나 한가운데의 꽃으로부터 피는 꽃차례. = 밀방화서. 취산화서.
- 꽃차례: 꽃-차례 [꼳-][명사]《식물》 꽃이 줄기나 가지에 붙어 있는 모양이나 배열. = 화서2 (花序).
- [总怼]状꽃차례: 총상-꽃차례【總狀꽃차례】 [총:-꼳-][명사]《식물》 싸리나무꽃, 장다리꽃 따위와 같이, 꽃대에 꽃꼭지가 있는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붙어서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하여 끝까지 미치어 피는 꽃차례. [준말] 총상(總狀). = 총상화서(總狀花序).
- 单顶꽃차례: 단정-꽃차례【單頂꽃차례】 [-꼳-][명사]《식물》 (개양귀비 꽃, 튤립 따위와 같이) 꽃대의 꼭대기에 꼭 한 개의 꽃이 붙는 꽃차례. = 단정화서(單頂花序).
- 圆锥꽃차례: 원추-꽃차례【圓錐꽃차례】 [-꼳-][명사]《식물》 = 원뿔꽃차례.
- 头状꽃차례: 두상-꽃차례【頭狀꽃차례】 [-꼳-][명사]《식물》 (국화, 민들레, 백일홍 따위처럼) 꽃대의 끝에 많은 꽃이 한데 붙어서 한 송이의 꽃처럼 머리 모양을 이루는 꽃차례. = 두상화서(頭狀花序).
- 无限꽃차례: 무한-꽃차례【無限꽃차례】 [-꼳-][명사]《식물》 아래에나 가장자리에 있는 꽃부터 피기 시작하는 꽃차례. 두상꽃차례, 산방꽃차례, 산형꽃차례, 수상꽃차례, 총상꽃차례 따위. = 무한화서(無限花序).⇔ 유한꽃차례(有限-).
- 有限꽃차례: 유한-꽃차례【有限꽃차례】 [유:-꼳-][명사]《식물》 꽃줄기 위에 있는 꽃부터 먼저 피고, 차차 아래로 내리 피는 꽃차례. 취산꽃차례, 권산꽃차례, 기산꽃차례, 단정꽃차례 등이 이에 딸린다. = 상화선개화서. 원심화서. 유한화서(有限花序). 중심선개화서.⇔ 무한꽃차례(無限-).
- 穗状꽃차례: 수상-꽃차례【穗狀꽃차례】 [-꼳-][명사]《식물》 = 이삭꽃차례.
- 肉穗꽃차례: 육수-꽃차례【肉穗꽃차례】 [-쑤꼳-][명사]《식물》 무한꽃차례의 하나. 이삭꽃차례와 비슷한데 꽃자루의 둘레에 수많은 잔 꽃이 붙는다. 옥수수, 두여머조자기 따위 꽃. = 육수화서(肉穗花序).
- 隐头꽃차례: 은두-꽃차례【隱頭꽃차례】 [-꼳-][명사]《식물》 살진 꽃대의 끝이 오목하게 쏙 들어가고 그 가운데에 잔 꽃이 많이 달리는 꽃차례. 무화과(無花果) 등에서 볼 수 있다. = 숨은머리 꽃차례. 은두화서(隱頭花序).
- 단정꽃차례: 단정-꽃차례【單頂꽃차례】 [-꼳-][명사]《식물》 (개양귀비 꽃, 튤립 따위와 같이) 꽃대의 꼭대기에 꼭 한 개의 꽃이 붙는 꽃차례. = 단정화서(單頂花序).
- 두상꽃차례: 두상-꽃차례【頭狀꽃차례】 [-꼳-][명사]《식물》 (국화, 민들레, 백일홍 따위처럼) 꽃대의 끝에 많은 꽃이 한데 붙어서 한 송이의 꽃처럼 머리 모양을 이루는 꽃차례. = 두상화서(頭狀花序).
- 무한꽃차례: 무한-꽃차례【無限꽃차례】 [-꼳-][명사]《식물》 아래에나 가장자리에 있는 꽃부터 피기 시작하는 꽃차례. 두상꽃차례, 산방꽃차례, 산형꽃차례, 수상꽃차례, 총상꽃차례 따위. = 무한화서(無限花序).⇔ 유한꽃차례(有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