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감굿하다 뜻
발음:
대감굿-하다
[대:-구타-]
[자동사]〖여불규칙〗
⇒ 대감굿.
+모두 보이기...
- 대감굿: 대감-굿 [대:-굳][명사]《민속》 = 대감놀이.[파생동사] 대감굿-하다
- 굿하다: 굿-하다 [구타-][자동사]〖여불규칙〗무당이 잡귀를 쫓거나 복을 비는 의식을 행하다.
- 別神굿하다: 별신굿-하다【別神굿하다】 [-씬구타-][자동사]〖여불규칙〗⇒ 별신굿(別神-).
- 祖上굿하다: 조상굿-하다【祖上굿하다】 [-구타-][자동사]〖여불규칙〗⇒ 조상굿(祖上-).
- 다수굿하다: I 다-수굿하다1 [-구타-][자동사][타동사]〖여불규칙〗점잖게 고개를 조금 수그리다. [작은말] 다소곳하다1 .I I 다-수굿하다2 [-구타-][형용사]〖여불규칙〗고개를 조금 수그리고 점잖게 있다. [작은말] 다소곳하다2 .
- 닥굿하다: 닥굿-하다 [-꾸타다-][자동사]〖여불규칙〗구덩이에 닥을 찌다.
- 몸굿하다: 몸굿-하다 [-꾸타-][자동사]〖여불규칙〗⇒ 몸굿.
- 별신굿하다: 별신굿-하다【別神굿하다】 [-씬구타-][자동사]〖여불규칙〗⇒ 별신굿(別神-).
- 삼굿하다: 삼굿-하다 [-구타-][자동사]〖여불규칙〗삼굿에 삼을 넣고 찌다.
- 수굿하다: I 수굿-하다1 [-구타-][자동사][타동사]〖여불규칙〗좀 숙이다.* 고개를 ~.*[작은말] 소곳하다1 .I I 수굿-하다2 [-구타-][형용사]〖여불규칙〗좀 숙어 있다.* 고개가 ~.*[작은말] 소곳하다2 .[파생부사] 수굿-이
- 여탐굿하다: 여탐굿-하다 [여:-구타-][자동사]〖여불규칙〗⇒ 여탐굿.
- 조상굿하다: 조상굿-하다【祖上굿하다】 [-구타-][자동사]〖여불규칙〗⇒ 조상굿(祖上-).
- 직수굿하다: 직수굿-하다 [-쑤구타-][형용사]〖여불규칙〗하라는 대로 순순히 따르는 태도가 보인다.* ...도 말다툼엔 이골난 사람이라 직수굿하지 않고 대들었다.[파생부사] 직수굿-이
- 허줏굿하다: 허줏굿-하다 [-줃구타-][자동사]〖여불규칙〗⇒ 허줏굿.
- 대감: I 대감1 【大監】 [대:-] (취음大監)[명사]1 조선 때 정이품 이상의 관리를 높여서 부르는 말.2 《민속》 무속에서 집, 터, 나무, 돌 따위에 접한 신이나, 또 그 밖의 여러 신을 높여 일컫는 말.3 신라 때 병부, 시위부 따위에 두었던 무관직.I I 대감2 【大鑑】 [대:-][명사]그 한 권만으로 그 부분에 관한 전체의 지식을 얻을 수 있게 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