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이금 뜻
발음:
돌이-금【돌이金】
[명사]
《역사》 ▷ 도리금(-金).
- 이금: I 이금1 【弛禁】[명사]금령을 늦춤.[파생동사] 이금-하다I I 이금2 【泥金】[명사]금박 가루를 아교풀에 갠 것. 서화에 쓴다. = 금니2 (金泥).I I I 이금3 【而今】[부사]= 이금에(而今-).I V 이금4 【利金】 [이:-][명사]1 = 길미.2 = 이익금(利益金).V 이금5 【耳金】 [이:-][명사]▷ 귓쇠.
- 돌이: -돌이[접미사]1 '되풀이되는 주기'의 뜻.* 사흘~.2 '빙빙 돌아가는 현상이나 일'의 뜻.* 소용~.*맴~.3 '돌아다니는 일이나 짓'의 뜻.* 마을~.4 '돌아서 가게 된 곳'의 뜻.* 안~.*지~.
- 이금당: 이-금-당【已今當】 [이:-][명사]《불교》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이금에: 이금-에【而今에】[부사]이제 와서. = 이금3 (而今).
- 이금이후: I 이금-이후1 【而今以後】 [-이:-][명사]지금부터 이후.I I 이금-이후2 【而今以後】 [-이:-][부사]지금부터 이후에.
- 이금하다: 이금-하다【弛禁하다】[자동사]〖여불규칙〗⇒ 이금1 (弛禁).
- 三돌이: 삼-돌이【三돌이】[명사]'감돌이', '베돌이', '악돌이'를 통틀어 일컫는 말.
- 塔돌이: 탑-돌이【塔돌이】 [-똘-][명사]《민속》 사월 초파일에 절에 모여 밤새도록 탑을 돌며 부처의 공덕을 기리며 저마다의 기원을 하는 행사.
- 山돌이: 산-돌이【山돌이】[명사]1 다른 산에서 온 호랑이. = 객호(客虎).2 산에 익숙한 사람.3 《민속》 (강원) 산신으로 섬기던 범.
- 怯돌이: 겁돌이【怯돌이】[명사](함남) ▷ 겁쟁이(怯-).
- 镞돌이: 촉-돌이【鏃돌이】 [-똘-][명사]화살의 촉을 박기도 하고 뽑기도 하는 데 쓰는 제구.
- 감돌이: 감돌-이 [감:-][명사]이끗을 탐내어 살살 감돌며 떠날 줄 모르는 사람.* 일에는 배돌이, 먹는 데는 ~.
- 겁돌이: 겁돌이【怯돌이】[명사](함남) ▷ 겁쟁이(怯-).
- 돌이 많은: 화강암질의; 화강암의; 돌같은
- 돌이 없는: 핵이 없는; 알맹이가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