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시기 뜻
보시기
[명사]
김치 같은 것을 담는 작은 사발. = 보1 . 소완.
- 盒보시기: 합-보시기【盒보시기】 [-뽀-][명사]뚜껑이 있는 보시기.
- 합보시기: 합-보시기【盒보시기】 [-뽀-][명사]뚜껑이 있는 보시기.
- 보시: I 보시1 【布施】 [보:-][명사]《불교》1 자비심으로 남에게 재물이나 불법을 베풂.2 자비심으로 남에게 베푸는 재물 따위.3 불가에 재물을 연보함. = 단나 1. 단나바라밀(檀那波羅蜜). 단도(檀度). 단바라밀(檀波羅蜜). 단시(檀施). 정시2 (呈示).[파생동사] 보시-하다1 I I 보시2 【普施】 [보:-][명사]은혜를 널리 베풂.[파생동사] 보
- 시기: I 시기1 【時期】[명사]정한 때.* 위급한 ~.I I 시기2 【時機】[명사]알맞은 때.* ~를 놓치다.*~를 기다리다.*[참고] 기회2 .I I I 시기3 【猜忌】[명사]샘하여 미워함.[파생동사] 시기-하다I V 시기4 【始期】 [시:-][명사]1 어떤 일이 시작되는 때.2 《법률》 법률행위의 효력이 생기거나, 채무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는 때.V 시
- 살보시: 살-보시【살布施】[명사]'여자가 중에게 몸을 허락함'을 놀리는 말.[파생동사] 살보시-하다
- 승보시: 승보-시【陞補試】[명사]1 고려 때 생원을 뽑던 시험. 시부, 경의로 시험하였다. [준말] 승보. = 사학승보시.2 조선 때 매년 열 차례(뒤에는 열두 차례) 성균관 대사성이 사학의 유생을 모아 12일 동안 시부를 보이던 시험. 성적이 우수한 이에게는 생원, 진사과의 복시에 응시할 자격을 인정하였고, 개성과 제주는 따로 보였다. [준말] 승보. = 사학
- 재보시: I 재-보시1 【財布施】[명사]《불교》 중이나 가난한 사람에게 재물을 주는 일.I I 재-보시2 【齋布施】[명사]《불교》 재를 치른 뒤에 사례로 주는 돈.
- 보시하다: I 보시-하다1 【布施하다】 [보:-][자동사]〖여불규칙〗⇒ 보시1 (布施).I I 보시-하다2 【普施하다】 [보:-][자동사]〖여불규칙〗⇒ 보시2 (普施).I I I 보시-하다3 【報時하다】 [보:-][자동사]〖여불규칙〗⇒ 보시3 (報時).
- 살보시하다: 살보시-하다【살布施하다】[자동사]〖여불규칙〗⇒ 살보시(-布施).
- 여보시게: 여-보시게[감탄사]하게할 자리에 있는 사람을 좀 대접하여 부르는 말.
- 여보시오: 여-보시오[감탄사]하오할 자리에 있는 사람을 좀 대접하여 부르는 말. [준말] 엽쇼.
- 갱시기: 갱시기[명사](경상) 찬밥에 김치, 흰떡, 멸치 따위를 넣고 끓인 죽.
- 거시기: I 거시기1 [대명사]말하고자 하는 사물의 이름이 얼른 떠오르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가 거북스러울 때 그 대신으로 일컫는 말.* "여보게, ~ 말이야." "아니, ~라니?"I I 거시기2 [감탄사]하려는 말이 얼른 떠오르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가 거북스러울 때 내는 군말.* ~, 이런 말씀 드려서 좋을지 모르겠습니다만....*[참고] 저거시기.
- 기시기: 기시-기【記時器】[명사](전화의) 통화 시간을 기록하는 장치.
- 세시기: 세시-기【歲時記】 [세:-][명사]연중행사를 적어 놓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