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문화 뜻
불교-문화【佛敎文化】
[명사]
불교가 끼쳐 주었거나 불교로 말미암아 발달된 문화.
- 불교문학: 불교-문학【佛敎文學】[명사]부처의 세계관과 불교 사상을 바탕으로 한 문학.
- 비교문화의: 이문화간의
- 회교문화: 전체 회교국; 이슬람교; 마호메트교; 전 회교도
- 교문: I 교문1 【校門】 [교:-][명사]학교의 문.I I 교문2 【敎門】 [교:-][명사]1 교회의 문.2 《불교》 '부처의 가르침'을 해탈의 도에 드는 문이라는 뜻으로 일컫는 말.
- 불교: 불교【佛敎】[명사]《종교》 서기전 5세기께 인도의 석가모니가 창시한 종교. 이 세상의 고통과 번뇌를 벗어나 부처가 됨을 종지로 하며 죽어서 극락세계에 감을 이상으로 한다. 교리에 따라 대승인 북방불교와 소승인 남방불교로 갈려 동양 여러 나라에 퍼졌다. = 불법2 (佛法)1. 상교. 석교3 (釋敎). [참고] 대승1 . 소승1 .
- 문화: I 문화1 【文火】[명사]뭉근하게 타는 불. = 만화2 (慢火).⇔ 무화(武火).I I 문화2 【文化】[명사]1 학문이 나아가서 사람이 깨어 밝게 됨.2 형벌이나 위력보다도 문덕으로써 백성을 가르쳐 인도함.3 사람이 본래 가지고 있는 이상을 실현하려는 인간 활동의 과정 또는 성과. 특히, 예술, 도덕, 종교, 제도 따위 인간의 내면적, 정신적 활동의 소
- 반교문: 반교-문【頒敎文】[명사]《역사》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세상에 널리 알리던 임금의 글.
- 불교가: 불교-가【佛敎家】[명사]1 = 불교도(佛敎徒).2 불교를 연구하여 상당한 전문 지식을 가진 사람.
- 불교도: 불교-도【佛敎徒】[명사]불교를 믿는 사람, 또는 그 무리. [준말] 불도1 . = 불교가(佛敎家)1.
- 불교의: 부처의
- 선불교: 좌선하는 사람
- 원불교: 원-불교【圓佛敎】[명사]《불교》 불교 교파의 하나. 1916년 박중빈이 전라 북도 익산군에 총본산을 두고 개창, 1946년 원불교로 칭하였다. 불교의 현대화, 생활화를 주장하는데 신앙의 대상이 법신불의 일원상이며 시주, 동냥, 불공 등을 폐지하고 각자 정당한 직업에 종사하며 교화 사업을 한다는 점이 여느 불교와 다르다.
- 교문을 나오다: 학교를 졸업하다.
- 비교문법: 비교-문법【比較文法】 [비:-뻡][명사]《언어학》 둘 이상의 언어의 문법 구조를 견주어 그 같고 다름을 연구하는 학문. = 견줌문법.
- 비교문학: 비교-문학【比較文學】 [비:-][명사]《문학》 두 나라 이상의 문학을 비교. 연구하여, 서로의 연관성 및 전체적인 문학의 특질을 밝히는 학문.
예문
- 이후 불교가 인도 전역으로 퍼져 사르나트는 불교문화 중심지로 자리 잡게 됐다.
- 특히 일본 학자들의 발표는 당대 신라와 일본의 불교문화 사이에 걸친 숨은 인연을 드러내는 것이 많았다.
- 또 변전실장이 기획예산처 장관 재직시 자신과 친분이 있는 스님의 불교문화 관련 사업에도 정부예산이 대폭 지원된 사실을 확인했다.
- 상주박물관 쪽은 상설전시실 전시구역을 신상리 구석기유적부터 사벌국과 신라문화, 상주의 불교문화, 임진왜란과 상주의 유교문화, 근·현대의 상주 등으로 나눠 유물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