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육 뜻
발음:
산사-육【山査肉】
[명사]
《한의학》 씨를 바른 아가위. 건위 소화제로서 위산 과다증, 두진, 산증에 쓰인다.
- 산사: I 산사1 【山寺】[명사]산속에 있는 절.I I 산사2 【山査】[명사]1 = 아가위 1.2 《식물》 = 아가위나무.I I I 산사3 【散史】 [산:-][명사]관직에 있지 않고 문필에나 종사하던 사람.
- 사육: I 사육1 【私肉】[명사]= 사고기(私-)1.I I 사육2 【飼育】[명사]짐승을 먹여 기름. = 사양3 (辭讓).[파생동사] 사육-하다1 사육-되다I I I 사육3 【事育】 [사:-][명사]어버이를 섬기고 아들딸을 기름.[파생동사] 사육-하다2
- 산사람: 산-사람【山사람】 [-싸-][명사]산에서 사는 사람. [참고] 산인(山人).
- 산사자: 산사-자【山査子】[명사]= 아가위 1.
- 산사태: 산-사태【山沙汰】[명사]《지리/지학/땅이름》 가파른 비탈을 이룬 산 중턱의 바윗돌이나 흙 따위가 갑자기 무너져 내려오는 현상. = 산붕(山崩). 산태1 (山汰). [참고] 산수이.
- 조산사: 조산-사【助産師】 [조:-][명사]분만을 돕거나 임산부 및 신생아에 대한 보건과 양호 지도에 종사하는 사람. = 산파1 (産婆).
- 화산사: 화산-사【火山砂】 [화:-][명사]《지리/지학/땅이름》 = 화산모래(火山-).
- 사육신: 사-육신【死六臣】 [사:-씬][명사]《역사》 조선 세조 2(1456)년에 상왕인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잡혀 죽은 여섯 충신. 이개, 하위지, 유성원, 유응부, 성삼문, 박팽년. = 노량육신. [참고] 생육신.
- 사육자: 애호가
- 사육장: 사육-장【飼育場】 [-짱][명사]짐승을 먹이어 기르는 곳.
- 사육제: 사육-제【謝肉祭】 [사:-쩨][명사]《천주교》 사순절에 앞서서 3일 또는 한 주일 동안 즐기는 명절. = 육제.
- 광산사용료: 왕위의 구현화; 존귀; 화폐주조세; 왕령; 상연료; 왕족의 한 사람; 특권계급; 왕의 존엄; 왕의 특권; 왕자의 풍모; 저작권 사용료
- 백두산사슴: 백두산-사슴【白頭山사슴】 [-뚜-][명사]《동물》 포유류 사슴과의 한 가지. 한국의 특산종이며, 서식하는 사슴 중 제일 큰 종류로 몸빛은 여름에 푸른 회색, 겨울에 회갈색이다. = 청록(靑鹿). 큰사슴.
- 산사나무: 산사-나무【山査나무】[명사]《식물》 = 아가위나무.
- 산사나무속: 산사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