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도육군통어사 뜻
발음:
삼도-육군-통어사【三道陸軍統禦使】
[-꾼통:-]
[명사]
조선 고종 25(1888)년 경상, 전라, 충청 삼도의 육군을 통솔하려고 임시로 두었던 장수. = 육군통어사(陸軍統禦使). 통어사(統禦使)2.
+모두 보이기...
- 삼도통어사: 삼도-통어사【三道統禦使】 [-통:-][명사]조선 때 경기, 충청, 황해 삼도의 수군을 통솔하던 벼슬. = 통어사(統禦使)1.
- 통어사: 통어-사【統禦使】 [통:-][명사]1 = 삼도통어사(三道統禦使).2 = 삼도육군통어사(三道陸軍統禦使).
- 삼도수군통제사: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통:-][명사]조선 시대 경상, 전라, 충청의 수군을 통솔하던 수군의 가장 높은 벼슬. = 통곤. 통제사(統制使).
- 육군: 육군【陸軍】 [-꾼][명사]땅위에서 전투를 맡아 하는 군대. [참고] 공군(空軍). 해군1 .
- 통어: I 통어1 【通語】[명사]1 = 통역(通譯).2 (외국 사람과) 말이 통함.3 일반에서 널리 쓰이는 말.I I 통어2 【統御】 [통:-][명사]= 통제(統制).[파생동사] 통어-하다
- 삼도: I 삼도1 【三道】[명사]1 효자가 부모를 섬기는 세 가지 길. 봉양하고, 상사에 근신하며, 제사를 받드는 일. = 삼행(三行)1.2 《군사》 군사를 쓰는 정병, 기병, 복병의 세 가지 병법.3 《불교》 성문이나 보살이 수행하는 세 단계. 곧 견도, 수도, 무학도.4 《불교》 생사의 윤회하는 인과에 대한 세 가지 모양. 곧 혹도, 업도, 고도.I I 삼
- 어사: I 어사1 【御史】 [어:-][명사]1 임금의 명령으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지방에 파견된 임시 벼슬. 감진어사, 안핵어사, 순문어사, 암행어사 따위.2 '암행어사'의 준말.I I 어사2 【御使】 [어:-][명사]임금의 심부름을 하던 사람.I I I 어사3 【御射】 [어:-][명사]임금이 활을 쏨.[파생동사] 어사-하다1 I V 어사4 【御賜】 [어:-]
- 육군 원수: 사법 비서관
- 공통어: 공통-어【共通語】 [공:-][명사]《언어학》1 다른 종족이나 민족들 사이에 두루 쓰이는 말.2 한 나라에서 두루 쓰이는 말. [참고] 표준말.
- 통어법: 문장론
- 삼도천: 삼도-천【三途川】[명사]《불교》 사람이 죽어서 저승으로 가는 도중에 있다고 하는 큰 내. 생전에 지은 업에 따라 세 가지 다른 여울이 정해진다 한다.
- 십삼도: 십삼-도【十三道】 [-쌈-][명사]《지리/지학/땅이름》 조선 고종 33(1896)년에 둔 지방행정구역인 열세 개의 도. 경상 남도, 경상 북도, 전라 남도, 전라 북도, 충청 남도, 충청 북도,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평안 남도, 평안 북도, 함경 남도, 함경 북도로 1946년까지 시행되었다. [참고] 십사도. 팔도.
- 월삼도: 월-삼도【越三道】 [-쌈-][명사]세 도를 넘김.* ~ 정배.[파생동사] 월삼도-하다
- 하삼도: 하-삼도【下三道】 [하:-][명사]충청, 경상, 전라의 세 도. = 하도(下道). [참고] 삼남2 .
- 국어사: 국어-사【國語史】[명사]《언어학》 국어의 음운, 어휘, 말본이 변천하여 온 역사, 또는 그 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