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령초 뜻
발음:
- 퓨셔
- 수령: I 수령1 【守令】[명사]= 원3 (員).I I 수령2 【受領】[명사](돈이나 물품 따위를) 받아들임.[파생동사] 수령-하다1 I I I 수령3 【首領】[명사]한 당파나 무리의 우두머리가 되는 사람.I V 수령4 【樹齡】[명사]나무 나이.
- 연령초: 연령-초【延齡草】 [열-][명사]《식물》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에서 나온 원기둥 모양의 줄기 끝에 둥근 잎이 세 쪽 돌려 난다. 5~6월에 줄기 끝에서 꽃대가 나와 자줏빛 꽃이 핀다. 열매는 먹으며, 말린 뿌리줄기는 '연령초근'이라 하여 위장병의 약제로 쓴다.
- 분수령: 분수-령【分水嶺】[명사]1 《지리/지학/땅이름》 분수계가 되는 산마루나 산맥. = 분수산맥(分水山脈). 분수척.2 어떤 사물이 발전하는 데 있어서의 전환점.
- 수령인: 수령-인【受領人】[명사](돈이나 물품을) 받는 사람. = 영수인1 (領收人).
- 수령증: 수령-증【受領證】 [-쯩][명사]= 받음표.
- 위수령: 위수-령【衛戍令】[명사]《법률》 육군 부대가 어떤 지역에 머물러 그 지역의 경비, 질서 유지 및 군기의 감시와 육군에 딸린 건축물, 그 밖의 시설을 보호할 것을 규정한 대통령령.
- 수령능력: 수령-능력【受領能力】 [-녁][명사]《법률》 남의 의사표시의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 민법은 미성년자와 금치산자 밖의 모든 사람을 수령 능력자로 규정하고 있다.
- 수령명의자: 종군자; 후보; 임명된 사람
- 수령칠사: 수령-칠사【守令七事】 [-싸][명사]조선 때 수령이 자기 고을을 다스리는데 힘써야 할 일곱 가지 일. 곧 농상이 진흥하고, 호구가 늘고, 학교가 일어나고, 군정이 잘 되고, 부역이 고르게 되고, 사송이 잘 처리되고, 간활이 없어지게 하는 따위.
- 수령하다: I 수령-하다1 【受領하다】[타동사]〖여불규칙〗⇒ 수령2 (受領).I I 수령-하다2 【秀靈하다】[형용사]〖여불규칙〗뛰어나게 신령스럽다.* 재주가 ~.
- 수로: I 수로1 【水路】[명사]1 = 물길1 12.2 = 뱃길.3 《체육》 수영 경기에서 선수 한 사람씩 헤엄쳐 나가게 경계를 정해 놓은 길.I I 수로2 【手爐】[명사]손을 쬐게 만든 화로.I I I 수로3 【囚虜】[명사]갇혀 있는 포로.I V 수로4 【首虜】[명사]적과 싸움에서 베어 얻은 머리와 포로.V 수로5 【酬勞】[명사]수고나 공로에 대하여 돈으로
- 수로 측량: 수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