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법행위 뜻
위법-행위【違法行爲】
[-버팽-]
[명사]
《법률》 법을 어기는 짓. 범죄 행위, 불법 행위, 빚을 안 갚는 짓 따위.
+모두 보이기...
- 불법행위: 불법-행위【不法行爲】 [-버팽-][명사]《법률》 고의나 과실로 말미암아 남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 위법: 위법【違法】[명사]법을 어김.[파생동사] 위법-하다
- 행위: 행위【行爲】[명사]1 하는 짓.* 부정 ~.2 《법률》 권리의 득실, 이전 등의 원인이 되는 의사의 표시.3 《윤리》 사람의 도덕적 성질을 띤 의식적인 행동.
- 불법행의: 위법
- 사법행정: 사법-행정【司法行政】 [-버팽-][명사]《법률》 = 법원행정.
- 대위법: 대위-법【對位法】 [대:-뻡][명사]《음악》 주된 가락인 정선율에 독립성을 갖는 다른 선율을 조합시키는 작곡법.
- 무위법: 무위-법【無爲法】 [-뻡][명사]《불교》 생멸 변화가 없는 참된 법.
- 위법성: 위법-성【違法性】 [-썽][명사]《법률》 법을 어길 요건. 민법은 권리침해를, 형법은 정당방위, 긴급피난 들에 해당하지 않은 행위를 그 요건으로 규정한다.
- 위법자: 침입자; 무면허 상인; 난입자; 침입기; 불법 침입자
- 인위법: 인위-법【人爲法】 [-뻡][명사]《법률》 = 인정법(人定法).
- 진위법: 진위-법【眞僞法】 [-뻡][명사]두 가지의 선택할 갈래를 주어 지식을 검사하는 방법.
- 환위법: 환위-법【換位法】 [-환-뻡][명사]《논리》 주어진 판단의 주사를 새 판단의 빈사로, 주어진 판단의 빈사를 새 판단의 주사로 위치를 바꾸어 하는 직접추리. '경주는 신라의 서울이다.'를 '신라의 서울은 경주이다.'로 하는 따위. [참고] 환질법.
- 당위법칙: 당위-법칙【當爲法則】[명사]《철학》 (도덕률과 같이) 사람이 마땅히 하여야 될 법칙.
- 대위법상의: 다음 합성의
- 위법성 조각 사유: 위법성 조각 사유【違法性阻却事由】 [-썽-싸:-][명사]《법률》 범죄 조건이 갖추어져 있어도, 특별히 그 행위를 위법으로 인정하지 않는 사유. 정당방위, 긴급피난 따위.
예문
예문 더보기: 다음>- 위법행위 조치계획을 제출하라’는 공문만 수차례 보내고, 실질적인 시정조처는 하지 않았다.
- 대전지방노동청은 지난달부터 한국타이어 사업주의 위법행위 등을 집중 조사하는 등 강도높은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했다.
- 성남시도 부동산중개업소 등에 의한 불법거래 알선행위를 단속하고 위법행위 발생시 관련법령에 따라 조치하게 된다.
- 신원이 특정되지 않은 집회참가자에 대해서는 채증된 동영상과 사진이 위법행위 자료로 경찰에 제출할 예정이다.
- 하지만 백악관과 공화당은 “대통령의 위법행위 증거는 없지 않냐”고 반박하고 있어, 치열한 공방전이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