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두문자 뜻
육두-문자【肉頭文字】
[-뚜-짜-]
[명사]
육담으로 된 숙어.
+모두 보이기...
- 두문자: 두-문자【頭文字】 [-짜][명사]= 머리글자(-字).
- 과두문자: 과두-문자 [-짜][명사]획이 올챙이처럼 머리는 굵고 끝이 가는 중국의 옛 글자. 황제 때 창힐이 새의 발자국에서 암시를 얻어 만들었다고 한다.
- 육두구: 육-두구 [-뚜-][명사]《식물》 육두구과의 늘푸른큰키나무. 열대식물로, 키는 20m쯤이며, 잎은 길둥근꼴로 반드럽고 짙은 풀빛이며, 종 모양의 흰 꽃이 암수딴그루로 핀다. 동그란 물렁열매가 주황색으로 익어서 둘로 갈라져 씨를 낸다. 씨와 씨껍질을 건위제 또는 향미료 따위로 쓴다. = 두구.
- 육두품: 육두-품【六頭品】 [-뚜-][명사]신라 때 왕족 다음가는 신분의 등급. 아찬에서 급벌찬 사이의 벼슬을 할 수 있었다. [참고] 골품.
- 문자: I 문자1 【文字】[명사]예전부터 전해 오는 숙어. 주로 한문 숙어나 성구를 이른다. [참고] 붙은문자.I I 문자2 【文字】 [-짜][명사]= 글자.
- 지두문: 지두-문【指頭紋】[명사]《공업/공학》 도자기에 잿물을 덮은 위에 손가락 끝으로 아무렇게나 그린 무늬.
- 육두구의 씨: 육두구
- 두문 불출하는: 귀항의; 집에 들어박힌
- 두문불출: 두문-불출【杜門不出】[명사]집 안에만 들어 있어서 밖에 나가지 않음. = 폐칩(閉蟄).[파생동사] 두문불출-하다
- 이두문학: 이두-문학【吏讀文學】 [이:-][명사]《문학》 이두로 쓰인 고전문학. 향가가 그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 두문불출하다: 두문불출-하다【杜門不出하다】[자동사]〖여불규칙〗⇒ 두문불출(杜門不出).
- 겹문자: 겹-문자【겹文字】 [겸-짜][명사]= 겹말.
- 국문자: 국-문자【國文字】 [궁-짜][명사]제 나라 글자.
- 그림 문자: 픽토그램
- 금문자: 금-문자【金文字】 [-짜][명사]= 금자1 (金字).
예문
- 최근 샌더스 지지자들에게 '육두문자 테러'를 당한 워런은 "조직적인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