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소문자 뜻
음소-문자【音素文字】
[-짜]
[명사]
《언어학》 각 음소(낱소리)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자음과 모음의 구별이 있는 글자. 한글, 알파벳 같은 것. = 낱소리글자.
+모두 보이기...
- 소문자: 소-문자【小文字】 [소:-짜][명사]서양 문자의 작은 체로 된 문자.⇔ 대문자.
- 소문자의: 소문자로인쇄하다
- 소문자로인쇄하다: 소문자의
- 음소: 음소【音素】[명사]《언어학》 음운의 최소 단위.* 하나 이상의 ~가 모여서 음절을 이룬다.
- 소문: I 소문1 【小門】 [소:-][명사]1 작은 문.2 '여자의 음부'를 에둘러 이르는 말.I I 소문2 【所聞】 [소:-][명사]사람들 사이에서 전하여 들리는 말.* ~을 내다.*~을 듣다.*~이 자자하다.*~이 돌다.*= 성식1 (聲息)2.*언의(言議).*이야기 4.*풍문2 (風聞).
- 문자: I 문자1 【文字】[명사]예전부터 전해 오는 숙어. 주로 한문 숙어나 성구를 이른다. [참고] 붙은문자.I I 문자2 【文字】 [-짜][명사]= 글자.
- 사음소: 사음-소【舍音所】[명사]마름이 사무를 보는 곳.
- 음소 하나: 표음
- 음소론: 음성사론; 음운론; 음소론의; 음성; 음소의; 사적 음운론; 음운 조직
- 음소의: 음소론; 음소론의
- 조음소: 조음-소【調音素】[명사]《언어학》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이나 체언 아래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조사가 붙을 때 그 사이에 끼여 소리를 고르는 모음. '먹으니', '집으로'에서 '-으-'나, 옛말의 '-ᄋ̖-' 따위. = 고름소리. 매개모음(媒介母音). 조성모음(調聲母音).
- 뒷소문: 뒷-소문【뒷所聞】 [뒤:쏘-/뒫:쏘-][명사]1 어떤 일이 끝난 뒤에 그 일에 관하여 들리는 여러 가지 소문.* ~이 좋지 않더라.*= 후문3 (後聞).2 뒤에서 이러니저러니 하는 소문.* ~만 듣고야 진실을 알 수 없다.
- 뜬소문: 뜬-소문【뜬所聞】[명사]터무니없이 떠도는 소문. = 낭설(浪說). 도청도설(道聽塗說). 부언1 (浮言). 비어2 (蜚語/飛語). 비언1 (飛言). 유언2 (流言). 헛소문(-所聞).
- 문소문: 문-소문【聞所聞】 [문:-][명사]소문으로 전해 들음.[파생동사] 문소문-하다
- 서소문: 서-소문【西小門】[명사]《지리/지학/땅이름》 '소의문'의 통속적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