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재화법으로 뜻
- 자재화: 자재-화【自在畵】[명사]《미술》 자나 컴퍼스 따위의 기구를 쓰지 않고, 연필이나 붓만을 가지고 그리는 그림.
- 딴 방법으로: 딴점에서는; 다른 상태로; 그렇지 않으면
- 마법으로 보호된: 기쁘게 생각하여; 마법에 걸린
- 특별한 방법으로: 각별히; 유달리; 낱낱이; 특히; 모처럼; 자세히; 특제로
- 합법으로 인정하다: 공인하다; 법률화하다; 해금하다
- 재화: I 재화1 【才華】[명사]빛나는 재주.I I 재화2 【災禍】[명사]재액과 화난.I I I 재화3 【財貨】[명사]1 = 재물2 (財物).2 《경제》 사람의 욕망을 채워 주는 물질.I V 재화4 【載貨】 [재:-][명사]차나 배 따위에 짐을 실음, 또는 그 짐.[파생동사] 재화-하다
- 화법: I 화법1 【話法】 [-뻡][명사]문장이나 말에서 남의 말을 재현하는 방법. 그대로 되풀이하여 말하는 것을 직접화법, 그의 취지만 따서 자기의 말로 고쳐 나타내는 것을 간접화법이라고 한다.I I 화법2 【畵法】 [화:뻡][명사]《미술》 그림 그리는 방법. = 화격(畵格)1.
- 자재: I 자재1 【自裁】[명사]= 자결(自決)1.[파생동사] 자재-하다1 I I 자재2 【資材】[명사]물자와 재료.I I I 자재3 【資財】[명사]= 자산(資産).
- 재화하다: 재화-하다【載貨하다】 [재:-][자동사]〖여불규칙〗⇒ 재화4 (載貨).
- 구화법: 구화-법【口話法】 [구:-뻡][명사]귀머거리나 벙어리가 남의 말하는 입술 모양을 보고 따라서 소리를 내어 말하게 하는 방법. = 독순술.
- 대화법: 대화-법【對話法】 [대:-뻡][명사]1 말을 잘 주고받는 방법.2 《교육》 이야기, 즉 묻고 대답하고 하는 식으로 학습을 진행시키는 방법. 대화하는 이가 서로 공통의 진리를 탐구한다는 목적이 전제되어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 산파법(産婆法).
- 미화법: 미화-법【美化法】 [미:-뻡][명사]《문학》 수사법의 한 가지로, 표현 대상을 의식적으로 아름답게 만드는 방법. 화장실, 양상군자 따위.
- 수화법: 수화-법【手話法】 [-뻡][명사]《교육》 농아 교육에서, 손짓으로 말하는 법. = 지화법(指話法).
- 시화법: 시화-법【視話法】 [시:-뻡][명사]발음할 때의 입술이나 혀의 움직임을 보고 발음법을 익히는 방법. 말더듬이 등 발음의 이상을 고치는 데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