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삼일 뜻
초-삼일【初三日】
[명사]
= 초사흘.
- 삼일: I 삼일1 【三一】[명사]1 하늘과 땅과 만물의 근원인 신. [참고] 태일.2 도가에서 일컫는 정과 신과 기.I I 삼일2 【三日】[명사]1 = 사흘.2 《예수교》 주일 후 사흘째 되는 날. 곧, 수요일. [참고] 삼일예배.
- 삼일곡: 삼일-곡【三日哭】[명사]1 사당이 타 버렸을 때 사흘 동안 슬피 우는 예절.2 오랫동안 울어댐.
- 삼일우: 삼일-우【三日雨】[명사]사흘이나 계속해서 오는 비. 곧 많이 오는 비.
- 삼일장: 삼일-장【三日葬】[명사]죽은 지 사흘 만에 지내는 장사. [참고] 구일장. 오일장. 칠일장.
- 삼일절: 삼일-절【三一節】 [-쩔][명사]해마다 3월 1일에 삼일운동을 기념하는 국경일.
- 삼일제: 삼일-제【三日製】 [-쩨][명사]오순절제의 하나. 삼짇날인 음력 삼월 초사흗날 보이는 과거. = 화제2 (和劑).
- 삼일주: 삼일-주【三日酒】 [-쭈][명사]담근 지 사흘 만에 마실 수 있는 술.
- 고려 공사 삼일: 고려 공사 삼일【高麗公事三日】[마디]('고려의 정책이나 법령은 사흘 만에 바뀌었다'는 뜻으로) 한 번 '시작한 일이 오래 가지 못하고 바뀜'을 비유하는 말.
- 삼일기도회: 삼일-기도회【三日祈禱會】 [-회/-훼][명사]《예수교》 = 삼일예배(三一禮拜).
- 삼일신고: 삼일-신고【三一神誥】[명사]《대종교》 단군이 한울과 한얼과 한울집과 누리와 참 이치의 다섯 가지를 삼천단부에게 가르친 말씀.
- 삼일신행: 삼일-신행【三日新行】[명사]결혼한 지 사흘만에 가는 혼행.
- 삼일예배: 삼일-예배【三一禮拜】 [-례-][명사]《예수교》 수요일 밤에 드리는 예배. = 삼일기도회(三日祈禱會).
- 삼일운동: 삼일-운동【三一運動】 [-운:-][명사]1919년 기미 3월 1일을 기하여 일본 식민지 정책에 항거하여 일어났던 우리 나라의 독립운동. 손병희 등 33인이 민족자결주의의 사조에 따라 서울의 탑골공원에서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고 시위 운동을 벌이어 온 겨레가 민족 해방을 위해서 일본 관헌과 싸웠으나 일본 군대의 출동으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는데, 이 때
- 삼일유가: 삼일-유가【三日遊街】 [-류-][명사]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좌주와 선진자와 친척을 방문하는 일.
- 삼일점고: 삼일-점고【三日點考】[명사]수령이 도임한 뒤 사흘 되는 날에 관속을 점고하는 일.[파생동사] 삼일점고-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