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융자 뜻
투-융자【投融資】
[명사]
《경제》 투자와 융자.
- 융자: 융자【融資】[명사]자금을 융통함.[파생동사] 융자-하다 융자-되다
- 금융자본: 금융-자본【金融資本】 [-늉-/그뮹-][명사]《경제》1 은행자본과 산업자본이 융합된 독점적인 자본.2 '대여자본'이나 '은행자본'을 통속적으로 일컫는 말.⇔ 산업자본(産業資本).
- 융자경색: 융자-경색【融資梗塞】[명사]《경제》 자금을 융통할 길이 막힘.
- 융자되다: 융자-되다【融資되다】 [-되-/-뒈-][자동사]⇒ 융자(融資).
- 융자하다: 융자-하다【融資하다】[타동사]〖여불규칙〗⇒ 융자(融資).
- 재정융자: 재정-융자【財政融資】 [-늉-][명사]《경제》 정부의 경비로 이루어지는 융자.
- 투원반: 투-원반【投圓盤】[명사]《체육》 = 원반던지기(圓盤-).
- 투우하다: 투우-하다【鬪牛하다】[자동사]〖여불규칙〗⇒ 투우(鬪牛).
- 투이어: 송풍구
- 투우장: 투우-장【鬪牛場】[명사]투우를 하는 곳.
- 투입: 투입【投入】[명사]1 던져 넣음.2 필요로 하는 사람이나 물자 따위를 넣음.[파생동사] 투입-하다 투입-되다
- 투우술: 황소 싸움
- 투입되다: 투입-되다【投入되다】[자동사]⇒ 투입(投入).
- 투우사: 투우-사【鬪牛士】[명사]투우에서, 소와 싸우는 사람.
- 투입성: 관통성
예문
- 이어 내년 상반기 투융자 심사 등 사전 절차를 거쳐 현상 공모로 도립미술관 청사진을 마련할 계획이다.
- 여기에 산하 공기업 3곳의 재정 관리와 3300억 원 규모의 투융자 사업 심의 업무도 그의 몫이다.
- 농림부가 6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내놓은 ‘한·미 FTA 농업 국내 보완대책’에 따르면 한·미 FTA 투융자 재원은 기존 119조원의 농업·농촌 투융자계획에서 기존 배정액과 증액, 다른 사업 축소에 따른 전용을 통해 12조1000억원을 마련하고, 나머지 2014년부터 2017년까지는 8조3000억원을 새로 확보해 모두 20조4000억원을 조성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