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구장전하다 뜻
발음:
포구장전-하다【砲口裝塡하다】
[포:-]
[타동사]〖여불규칙〗
⇒ 포구장전(砲口裝塡).
+모두 보이기...
- 포구장전: 포구-장전【砲口裝塡】 [포:-][명사]포구로부터 탄약을 잼.⇔ 포미장전(砲尾裝塡).[파생동사] 포구장전-하다
- 장전하다: 장전-하다【裝塡하다】[타동사]〖여불규칙〗⇒ 장전7 (裝塡).
- 포미장전하다: 포미장전-하다【砲尾裝塡하다】 [포:-][타동사]〖여불규칙〗⇒ 포미장전(砲尾裝塡).
- 장전하는 사람: 독본
- 포구하다: 포구-하다【捕球하다】 [포:-][자동사]〖여불규칙〗⇒ 포구4 (捕球).
- 포구: I 포구1 【浦口】[명사]1 = 개어귀.2 (항구보다 작은) 배가 드나들 수 있게 된 곳.I I 포구2 【匍球】[명사]《체육》 야구에서 땅볼.I I I 포구3 【砲口】 [포:-][명사]= 포문2 (砲門).⇔ 포미(砲尾).I V 포구4 【捕球】 [포:-][명사]공을 잡음.[파생동사] 포구-하다
- 구장: I 구장1 【九章】[명사]임금의 정복에 놓은 아홉 가지 수. 산, 용, 불꽃, 꿩, 종이(술잔)의 다섯 가지와 마름, 분미(쌀), 보(토끼 모양의 무늬), 불('弓'자 모양 두 개가 등을 댄 무늬)의 네 가지를 수놓았다.I I 구장2 【九腸】[명사]온 창자.I I I 구장3 【九臟】[명사]《생물학/생리학》 오장(심장, 비장, 간장, 신장, 폐장)에 위,
- 장전: I 장전1 【長田】[명사]마위전의 한 가지.I I 장전2 【長箭】[명사]1 = 긴작.⇔ 단전3 (短箭).2 《건축》 = 장살1 (長-).I I I 장전3 【莊田】[명사]장원에 딸린 전지.I V 장전4 【章典】[명사]= 전장8 (典章).* 권리~.V 장전5 【帳前】[명사]1 임금이 들어가 있는 장막의 앞.2 장수의 앞.V I 장전6 【帳殿】[명사]임시로
- 전하다: I 전-하다1 【傳하다】[자동사]〖여불규칙〗(뒷날이나 후대에) 남겨지거나 이어지다.* 예부터 전해 오는 풍습.I I 전-하다2 【傳하다】[타동사]〖여불규칙〗1 건네주거나 옮겨다 주다.* 편지를 ~.*부탁 받은 돈을 전했다.2 (소식이나 인사 등을) 알리다.* 소식을 ~.*안부를 ~.3 (뒷날이나 후대에) 남기어 물리다.* 이름을 후세에 ~.
- 하전하전하다: 하전하전-하다[형용사]〖여불규칙〗'허전허전하다'를 얕잡아 이르는 말. [큰말] 허전허전하다.
- 도포구: 화장용솔
- 가전하다: 가전-하다【家傳하다】[자동사]〖여불규칙〗⇒ 가전1 (家傳).
- 간전하다: 간전-하다【墾田하다】 [간:-][자동사]〖여불규칙〗⇒ 간전(墾田).
- 감전하다: I 감전-하다1 [자동사]〖여불규칙〗⇒ 감전1 .I I 감전-하다2 【敢戰하다】 [감:-][자동사]〖여불규칙〗⇒ 감전2 (敢戰).I I I 감전-하다3 【感電하다】 [감:-][자동사]〖여불규칙〗⇒ 감전3 (感電).I V 감전-하다4 【感傳하다】 [감:-][자동사]〖여불규칙〗⇒ 감전4 (感傳).
- 개전하다: I 개전-하다1 【開戰하다】[자동사]〖여불규칙〗⇒ 개전1 (開戰).I I 개전-하다2 【改悛하다】 [개:-][자동사]〖여불규칙〗⇒ 개전2 (改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