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꼬리수리 뜻
흰꼬리-수리
[힌-]
[명사]
《동물》 수릿과의 큰 새로 겨울새. 검독수리와 비슷하나 좀 작고 꼬리가 희다. 날개 길이 60cm쯤으로 몸빛이 검은 갈색인데, 흔히 늪, 해변에서 물고기, 물오리 따위를 잡아먹는다. 천연기념물 243호로 지정되었다.
+모두 보이기...
- 흰꼬리 사슴: 붉은 사슴; 붉은사슴
- 수리수리: 수리-수리[부사]눈이 흐려 보이는 모양.
- 수리수리하다: 수리수리-하다[형용사]〖여불규칙〗눈이 흐려서 어렴풋하거나 희미하다.
- 흰머리수리: 미국의 문장; 흰머리독수리
- 대머리수리 같은: 탐욕스러운
- 수리: I 수리1 [명사]《동물》1 맷과 수리속의 새들. 곧 독수리, 검독수리, 흰죽지수리, 항라머리검독수리, 흰꼬리수리, 흰죽지참수리, 참수리, 수염수리 따위.2 (경남) ▷ 독수리.3 (함북) ▷ 솔개.I I 수리2 [명사]《민속》 '단오'의 다른 이름.I I I 수리3 【水利】[명사]1 물위로 운송하는 편리.* ~가 좋다2 물을 이용하는 일. 곧 물을 음
- 꼬리: 꼬리[명사]1 동물의 꽁무니나 몸뚱이의 끝에 가늘게 내민 부분.2 어떤 사물의 맨 끝 부분.⇒ 꽁지.
- 만리수: 만리-수【萬里愁】 [말:-][명사]끝없이 스며드는 시름.
- 무리수: 무리-수【無理數】[명사]《수학》 실수이면서 정수나 분수의 형식으로 나타낼 수 없는 수. √2나 π(원주율) 같은 것.⇔ 유리수(有理數).
- 보리수: I 보리수1 [명사]보리수나무의 열매.I I 보리-수2 【菩提樹】[명사]《식물》1 뽕나뭇과의 큰키나무. 동인도에서 나는데, 키가 30m쯤 되고, 잎은 염통꼴로 끝이 뾰족하며, 가죽 바탕으로 윤이 나고, 꽃은 은두화로 무화과와 같은 열매가 열린다. 이 나무 아래에서 석가가 도를 이루었다 한다.2 피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 중국 원산으로 염주나무와 비슷하나,
- 유리수: 유리-수【有理數】 [유:-][명사]《수학》 실수에서 무리수를 제외한 정수와 분수.⇔ 무리수(無理數).
- 천리수: 천리-수【千里水】 [철-][명사]= 장류수(長流水)1.
- 모어리수에: 모어리-수에[감탄사]▷ 무에리수에.
- 무에리수에: 무에리-수에【 ([감탄사]돌팔이 장님 점쟁이가 자기에게 점을 치라고 거리로 다니면서 외치는 소리. 원말은 문수에.
- 바리수건: 바리-수건【바리手巾】 [-수:-][명사]《불교》 바리때를 닦는 행주.
예문
- 내셔널지오그래픽과 환경부가 주최한 제1회 ‘대한민국 10만가지 보물이야기’ 사진공모전에서 한강의 흰꼬리수리 등을 출품한 사진작가 이재흥씨가 대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 특히 임진강과 민통선 주변 논은 두루미와 재두루미, 저어새, 흰꼬리수리, 뜸부기, 큰기러기 등 멸종위기 조류가 먹이터, 산란터, 쉼터로 활용하는 중요한 습지다.
- 국립생물자원관 김진한 박사는 “한강하구 지역은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저어새를 비롯해 매, 흰꼬리수리, 검독수리, 재두루미, 개리, 큰기러기, 금개구리, 삵, 매화마름 등 희귀생물이 다수 서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