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가야 뜻
고령-가야【古寧伽倻】
[고:-]
[명사]
《역사》 신라 유리왕 19(42)년에 경상 북도 상주 지방에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는 나라. [참고] 육가야.
+모두 보이기...
- 고령: I 고령1 【高嶺】[명사]높은 재.* ~을 넘다.I I 고령2 【高齡】[명사]늙을 만큼 많은 나이, 또는 그런 나이가 된 사람.* 벌써 70 ~에 이르다.*= 고년1 (高年).*고수3 (高壽).
- 가야: 가야【伽倻/伽耶/加耶】 (취음加耶/伽耶/伽倻)[명사]《역사》1 = 가야국(伽倻國)1.2 = 가락국(駕洛國).
- 월령가: 월령-가【月令歌】[명사]한 해 동안의 기후의 변화나 의식 및 농가 행사 등을 달의 순서에 따라 읊은 노래. = 달거리1 3. 달거리요(-謠). 월령체가(月令體歌).
- 고령자: 고령-자【高齡者】[명사]나이가 썩 많은 늙은 사람.
- 고령토: 고령-토【高嶺土】[명사]《공업/공학》 바위 속에 있는 질돌이 풍화작용으로 분해되어 생기는, 흰빛이나 잿빛의 흙. 도자기나 시멘트의 원료 따위로 쓰인다. = 고량토(高粱土). 고릉토(高陵土). 백토1 (白土)3.
- 고령화: 고령-화【高齡化】[명사]늙을 만큼 많은 나이에 이르게 됨.* ~ 사회.[파생동사] 고령화-하다
- 포고령: 포고-령【布告令】 [포:-][명사]공포하여 널리 알리는 명령이나 법령.* ~이 내린다.
- 가야국: 가야-국【伽倻國】[명사]《역사》1 신라 유리왕 19(42)년에 변한의 땅에 김수로왕의 형제 여섯 사람이 세운 여섯 나라(금관가야, 대가야, 소가야, 아라가야, 성산가야, 고령가야). (42~562). = 가라(加羅/伽羅/迦羅)1. 가라국(加羅國). 가락3 (駕洛)1. 가락국(駕洛國)2. 가량국(加良國)1. 이야. 구야. 구야국. [참고] 육가야.2 =
- 가야금: 가야-금【伽倻琴】[명사]《음악》 = 가얏고.
- 가야미: 가야미[명사]《동물》 개미3 .
- 가야지: 가야지[명사] 버들개지.
- 대가야: 대-가야【大伽倻】 [대:-][명사]《역사》 신라 유리왕 19(42)년에 이진아시가 경상북도 고령군 땅에 세운 나라. 진흥왕 23(562)년 16대 520년 만에 신라에 합병되었다. (42~562).
- 소가야: 소-가야【小伽倻】 [소:-][명사]《역사》 신라 유리 임금 19(42)년에 경상남도 고성군 주위에 세워진 나라. 법흥왕 19(532)년에 신라에 병합되었다. (42~532). = 가야국(伽倻國)3. [참고] 육가야.
- 육가야: 육-가야【六伽倻】 [-까-][명사]《역사》 변한의 땅 낙동강 하류 유역에 있던 여섯 가야. 아라가야, 고령가야, 대가야, 성산가야, 소가야, 금관가야.
- 고령화하다: 고령화-하다【高齡化하다】[자동사]〖여불규칙〗⇒ 고령화(高齡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