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연와 뜻
발음:
목-연와【木煉瓦】
[몽년-]
[명사]
벽을 쌓거나 길바닥에 까는 벽돌 모양으로 된 나무토막.
+모두 보이기...
- 연와: I 연와1 【燕窩】 [연:-][명사]바위에서 사는 금사연의 보금자리. 물고기나 바닷말을 물어 다가 침을 발라서 만든 것인데 중국 음식의 으뜸가는 국거리이다. = 연소3 (燕巢).I I 연와2 【煉瓦】 [연:-] (일본어煉瓦)[명사]▷ 벽돌.
- 적연와: 적-연와【赤煉瓦】[명사]붉은 벽돌.
- 어목연석: 어목-연석【魚目燕石】 [-몽년-][명사](물고기의 눈과 중국 연산에서 나는 돌이 진주 비슷하나 아니라는 뜻으로) '거짓이 진실을 어지럽힘'을 비유하는 말.
- 목에 핏대를 세우다: 목에 핏줄이 불거지도록 몹시 노하거나 흥분함을 이르는 말.
- 목에 거미줄 치다: = 입에 거미줄 치다(⇒ 입).
- 목영: I 목영1 【木纓】[명사]옻칠한 나무 구슬을 꿰어 만든 갓끈.I I 목영2 【目迎】[명사]오는 사람을 바라보고 맞음.⇔ 목송(目送).[파생동사] 목영-하다
- 목어: I 목어1 【木魚】[명사]《불교》1 = 목탁(木鐸)1.* ~를 두드리다/졸음에 겨워/고오운 상좌 아이도/잠이 들었다.2 나무로 잉어 모양으로 만들어 매달고 불사 때 두드리는 기구.I I 목어2 【木魚】[명사]《동물》 = 도루묵.
- 목영하다: 목영-하다【目迎하다】[타동사]〖여불규칙〗⇒ 목영2 (目迎).
- 목양하다: I 목양-하다1 【牧羊하다】[자동사]〖여불규칙〗⇒ 목양1 (牧羊).I I 목양-하다2 【牧養하다】[자동사]〖여불규칙〗⇒ 목양2 (牧養).
- 목왕지절: 목왕지-절【木旺之節】[명사]오행의 목기가 성하는 때. 곧 '봄철'을 달리 일컫는 말.
- 목양자: 목양-자【牧羊者】[명사]= 양치기(羊-)1.
- 목요: 목요【木曜】[명사]'목요일'의 준말.* ~ 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