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왕지절 뜻
발음:
목왕지-절【木旺之節】
[명사]
오행의 목기가 성하는 때. 곧 '봄철'을 달리 일컫는 말.
- 금왕지절: 금왕지-절【金旺之節】[명사]오행 가운데서 금기가 왕성한 절기. 곧, '가을'을 일컫는 말. = 금왕지기.
- 수왕지절: 수왕지-절【水旺之節】[명사]《민속》 오행에 수기가 왕성한 절기. 곧 겨울을 일컫는 말.
- 토왕지절: 토왕지-절【土旺之節】[명사]《민속》 오행에서, 토기가 왕성하다는 절기. 일 년에 네 번 입춘, 입하, 이부, 입동 전 각 18일 동안이다. [준말] 토왕.
- 화왕지절: 화왕지-절【火旺之節】 [화:-][명사]《민속》 (오행에서, '더운 기운이 왕성한 절기'라는 뜻으로) '여름'을 이르는 말.
- 왕지: 왕지【王旨】[명사]1 임금이 전달하는 분부.2 = 교지5 (敎旨).
- 지절: I 지절1 【志節】[명사]지조와 절개.I I 지절2 【枝節】[명사]1 가지와 마디.2 '까닭이 많은 일의 사단'을 비유하는 말.I I I 지절3 【肢節】[명사]《생물학/생리학》 팔다리의 마디뼈.I V 지절4 【指切】[명사]친절하게 손으로 가리키며 풀이함.[파생동사] 지절-하다1
- 충목왕: 충목-왕【忠穆王】[명사]《역사》 고려 제29대 임금. 이름은 흔(昕). 충혜왕의 맏아들. (1337~1348, 재위 1344~1348).
- 지절지절: 지절-지절[부사]지절거리는 소리나 모양을 나타내는 말. [작은말] 재잘재잘.[파생동사] 지절지절-하다
- 왕지네: 왕-지네【王지네】[명사]《동물》 절지 동물 왕지넷과의 한 가지. 대형의 지네로 몸길이 10~14cm 정도. 육식성이고 턱에 독선(毒腺)이 있다. 말린 가루를 화상 등에 쓴다. = 대오공(大蜈蚣).
- 지절통: 지절-통【肢節痛】[명사]《한의학》 감기나 몸살로 팔다리의 뼈마디가 쑤시는 증세.
- 지절지절하다: 지절지절-하다[자동사]〖여불규칙〗= 지절거리다.
- 국왕지지자: 영국 당원; 충성자; 충성스러운사람
- 기왕지사: I 기왕지-사1 【旣往之事】[명사]이미 지나간 일. = 이왕지사1 (已往之事).I I 기왕지-사2 【旣往之事】[부사]어차피 아무래도.* ~ 틀린 일을 어쩌겠나? = 이왕지사2 (已往之事).
- 왕지기와: 왕지-기와[명사]《건축》 박공 솟을각 끝에나 추녀 끝에 쓰이는 세모진 암키와.
- 왕지도리: 왕지-도리[명사]《건축》 모서리 기둥 위에 얹는 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