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승 뜻
발음:
무-정승【武政丞】
[무:-]
[명사]
무관 출신으로서 된 정승.
+모두 보이기...
- 정승: 정승【政丞】[명사]1 고려 태조 18(935)년에 태조가 신라 경순왕에게 봉한 벼슬. 태자의 위.2 고려에서는 충렬왕 34(1308)년부터 최고 벼슬인 '시중'을, 조선에서는 '의정'을 일컫던 말. = 구위. 구이. 국상1 (國相)1. 대관2 (大官)1. 대신2 (大臣)1. 상국1 (相國). 상신1 (相臣).
- 무정: 무정【務停】 [무:-][명사]조선 때, 농사일이 한창 바쁠 때인 춘분에서 추분까지 자질구레한 송사의 심리 업무를 쉬던 일.⇔ 무개2 (務開).
- 삼정승: 삼-정승【三政丞】[명사]영의정과 좌의정과 우의정의 세 정승. = 괴문. 삼상1 (三上). 태정1 (台鼎). [참고] 의정3 1.
- 우정승: 우-정승【右政丞】 [우:-][명사]= 우의정(右議政).
- 좌정승: 좌-정승【左政丞】 [좌:-][명사]= 좌의정(左議政).
- 판정승: 판정-승【判定勝】[명사]《체육》 권투나 레슬링 따위에서 판정으로 이김.
- 무정란: 무정-란【無精卵】 [-난][명사]= 홀알.
- 무정물: 무정-물【無情物】[명사]깨닫는 힘이 없는 물건. 광물 따위.
- 무정부: 무-정부【無政府】[명사]정부가 없음.
- 특무정: 특무-정【特務艇】 [틍-][명사]《군사》 특수한 작전이나 임무를 수행하는 작은 배.
- 백의정승: 백의-정승【白衣政丞】 [-의-/-이-][명사]유생으로서 대번에 정승 벼슬에 오른 사람. = 백의재상(白衣宰相).
- 특정승계: 특정-승계【特定承繼】 [-쩡-계/-쩡-게][명사]《법률》 개별적인 원인에 의해 다른 사람의 낱낱의 권리와 의무를 이어받는 일.⇔ 포괄승계(包括承繼).
- 한정승인: 한정-승인【限定承認】 [한:-][명사]《법률》 상속인이 상속하는 재산의 한도 안에서 피상속인의 채무와 유증을 물어줄 것을 조건으로 하는 상속 의사의 표시.⇔ 단순승인(單純承認).
- 정승 말 죽은 데는 가도 정승 죽은 데는 안 간다: 정승 말(개/당나귀) 죽은 데는 가도 정승 죽은 데는 안 간다 = 대감 죽은 데는 가도 정승 죽은 데는 안 간다(⇒ 대감1 ).
- 무정견하다: 무정견-하다【無定見하다】[형용사]〖여불규칙〗주견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