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가야 뜻
아라-가야【阿羅伽倻】
[명사]
《역사》 신라 유리이사금 19(42)년에 경상남도 함안에 세운 나라. 법흥왕 19(532)년 가락국이 망하기 전에 망하였다. (42~532). [참고] 육가야.
- 가야: 가야【伽倻/伽耶/加耶】 (취음加耶/伽耶/伽倻)[명사]《역사》1 = 가야국(伽倻國)1.2 = 가락국(駕洛國).
- 아라: I 아라[명사] 아래.I I -아라1 [어미](끝 음절의 모음이 'ㅏ', 'ㅗ'인 동사 어간에 붙어) 해라할 자리에 명령을 나타내는 종결어미의 하나.* 잡~.*보~.*[참고] -어라1 .*-여라1 .*-으라.I I I -아라2 [어미](끝 음절의 모음이 'ㅏ', 'ㅗ'인 형용사 어간에 붙어) 감탄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아이 좋~.*[참고] -어라2 .
- 가야국: 가야-국【伽倻國】[명사]《역사》1 신라 유리왕 19(42)년에 변한의 땅에 김수로왕의 형제 여섯 사람이 세운 여섯 나라(금관가야, 대가야, 소가야, 아라가야, 성산가야, 고령가야). (42~562). = 가라(加羅/伽羅/迦羅)1. 가라국(加羅國). 가락3 (駕洛)1. 가락국(駕洛國)2. 가량국(加良國)1. 이야. 구야. 구야국. [참고] 육가야.2 =
- 가야금: 가야-금【伽倻琴】[명사]《음악》 = 가얏고.
- 가야미: 가야미[명사]《동물》 개미3 .
- 가야지: 가야지[명사] 버들개지.
- 대가야: 대-가야【大伽倻】 [대:-][명사]《역사》 신라 유리왕 19(42)년에 이진아시가 경상북도 고령군 땅에 세운 나라. 진흥왕 23(562)년 16대 520년 만에 신라에 합병되었다. (42~562).
- 소가야: 소-가야【小伽倻】 [소:-][명사]《역사》 신라 유리 임금 19(42)년에 경상남도 고성군 주위에 세워진 나라. 법흥왕 19(532)년에 신라에 병합되었다. (42~532). = 가야국(伽倻國)3. [참고] 육가야.
- 육가야: 육-가야【六伽倻】 [-까-][명사]《역사》 변한의 땅 낙동강 하류 유역에 있던 여섯 가야. 아라가야, 고령가야, 대가야, 성산가야, 소가야, 금관가야.
- 아라사: 아라사【俄羅斯】[명사]'러시아'의 취음. = 아국1 (俄國).
- 아라스: 지도책
- 아라한: 아라한【阿羅漢】 (阿羅漢[명사]《불교》1 소승불교의 수행자 가운데 최고의 경지. 온갖 번뇌를 끊고, 사제의 이치를 밝혀 얻어서 세상 사람들의 존경을 받을 만한 공덕을 갖춘 성자.2 열 가지 부처의 칭호 가운데 하나. 생사를 이미 초월하여 배울 만한 법도가 없게 된 자리의 부처. [준말] 나한 1. = 응진(應眞).
- 아아라: 아아라[부사] 겨우.
- 앗아라: 앗아라[감탄사]▷ 아서라.
- 나라가 없는: 위엄을 잃은
예문
예문 더보기: 다음>- 아라가야 문화와 권력의 최대 중심지가 지금의 함안군이었음을 말해줍니다.
- 가야 연맹체의 하나인 아라가야 덧널무덤에서 발굴조사 결과발표가 진행중입니다.
- '창원 현동에서 아라가야 최대 규모의 고분군 확인.'
- 아라가야 유적에서 주로 나오는 유물로, 아라가야의 해양문화적 정체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 호남권에서는 처음 출토된 유물로, 경남 함안 아라가야 고분 출토품과 모양새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