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동육서 뜻
발음:
어동-육서【魚東肉西】
[-뉵써]
[명사]
제상 차릴 때 어찬은 동쪽에, 육찬은 서쪽에 놓음.
+모두 보이기...
- 육서: I 육서1 【六書】 [-써][명사]1 한자의 구조 및 사용에 관한 여섯 가지의 명칭. 곧,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2 한자의 여섯 가지 서체. 곧, 대전, 소전, 예서, 팔분, 초서, 행서, 또는 고문, 기자, 전서, 예서, 무전, 충서. = 육체1 (六體)2.I I 육서2 【陸棲】 [-써][명사]육지에서 삶. 뭍살이.* ~ 동물.⇔
- 어동: 어동【禦冬】 [어:-][명사]겨울 추위를 막음, 또는 그 준비.[파생동사] 어동-하다
- 강동육성: 강동-육성【江東六城】 [-뉵썽][명사]《역사》 고려 성종 12(993)년에 거란군을 물리치고 압록강 동쪽에 설치한 고려 국경의 여섯 성. 흥화(의주), 용주(용천), 통주(선천), 철주(철산), 구주(구성), 곽주(곽산)에 각각 두었다. = 강동육진(江東六鎭).
- 강동육진: 강동-육진【江東六鎭】 [-뉵찐][명사]《역사》 = 강동육성(江東六城).
- 방어동맹: 방어-동맹【防禦同盟】[명사]제삼국의 공격을 막고자 맺은 두 나라 이상의 동맹. = 방수동맹(防守同盟). [참고] 공격동맹.
- 어동어서에: 어동어서-에【於東於西에】[부사]이쪽이나 저쪽에.
- 어동하다: 어동-하다【禦冬하다】 [어:-][자동사]〖여불규칙〗⇒ 어동(禦冬).
- 언어동조대: 언어연합
- 어도록: 어도록[부사] 얼마.
- 어두: 어두【語頭】 [어:-][명사]= 말머리 1.
- 어도: I 어도【魚道】 (일본어魚道)[명사]1 ▷ 고깃길.2 《토목》 ▷ 어제2 (魚梯).I I -어도[어미]〔끝 음절의 모음이 음성모음인 동사, 형용사 어간 따위에 붙어 쓰이는 연결어미.〕1 가정이나 양보적인 뜻을 나타냄.* 있~ 그만 없~ 그만.*[참고] -아도.2 대립적인 사실을 이어 줌.* 약을 먹~ 잘 낫지 않는 병.*[참고] -아도.
- 어두귀면: 어두-귀면【魚頭鬼面】 [-귀:-][명사]('고기 대가리에 귀신 상판때기'라는 뜻으로) '괴상망측하게 생긴 얼굴'을 일컫는 말.
- 어데: 어데[준말]'어디에'의 준말.
- 어두귀면지졸: 어두귀면지-졸【魚頭鬼面之卒】 [-귀:-][명사]되지 못한 잡살뱅이 사람들.
예문
- 아버지는 홍동백서, 좌포우혜, 어동육서, 반서갱동을 읊으면서 상차림의 예들을 외우시곤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