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방승지 뜻
발음:
육방-승지【六房承旨】
[-빵-]
[명사]
조선 때, 승정원의 육방에 딸린 승지.
+모두 보이기...
- 방승: 방승【方勝】[명사]= 금전지(金箋紙).
- 육방: I 육방1 【六方】 [-빵][명사]여섯 방위. 곧 동쪽, 서쪽, 남쪽, 북쪽, 위쪽, 아래쪽.I I 육방2 【六房】 [-빵][명사]조선 때, 승정원과 각 지방 관아에 둔 이방, 호방, 예방, 병방, 형방, 공방.
- 승지: I 승지1 【承旨】[명사]왕명을 전하던 벼슬. 고려 때는 밀직사의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우부승지' 등이 있었고, 조선 때는 승정원의 '도승지,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동부승지' 등이 있었다. [참고] 대언2 2. 승선1 .I I 승지2 【勝地】[명사]= 명승지(名勝地).
- 방승매듭: 방승-매듭【方勝매듭】[명사]납작하고 네모지게 맺는 매듭.
- 경승지: 경승-지【景勝地】[명사]경치가 좋은 곳.⇒ 명승지(名勝地).
- 도승지: 도-승지【都承旨】[명사]1 고려 충렬왕 24(1298)년에 밀직사를 고친 광정원의 종오품 벼슬.2 승정원의 여러 승지 가운데의 으뜸인 정삼품 벼슬. = 도령(都令).
- 명승지: 명승-지【名勝地】[명사]경치 좋기로 이름난 곳. = 경승(景勝). 경승지(景勝地). 경처(景處). 명승1 (名勝)2. 보승지(保勝地). 승지2 (勝地).
- 무승지: 무-승지【武承旨】 [무:-][명사]조선 때, 무과 출신의 무신으로 임명된 승지.
- 보승지: 보승-지【保勝地】 [보:-][명사]= 명승지(名勝地).
- 우승지: 우-승지【右承旨】 [우:-][명사]1 고려 때, 밀직사에 딸려 왕명 출납을 맡은 정삼품 벼슬.2 조선 때 승정원의 정삼품 벼슬. [참고] 좌승지.
- 좌승지: 좌-승지【左承旨】 [좌:-][명사]1 고려 때 밀직사에 딸려 왕명 출납을 맡은 정삼품 벼슬. [참고] 우승지 1.2 조선 때, 승정원의 정삼품 벼슬. [참고] 우승지 2.
- 교육방송: 교육-방송【敎育放送】 [교:-빵:-][명사]《교육》 교육 활동에 쓰이는 라디오나 텔레비전 방송.
- 십육방위: 십육-방위【十六方位】 [심뉵빵-][명사]동서남북의 사방을 열 여섯의 방향으로 나눈 방위.
- 육방관속: 육방-관속【六房官屬】 [-빵-][명사]지방 관청의 육방에 딸린 아전들.
- 육방망이: 육-방망이【六방망이】 [-빵-][명사]방망이 여섯을 이용하여 열 두 사람이 메는 상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