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방정계 뜻
육방-정계【六方晶系】
[-빵-계/-빵-게]
[명사]
수정, 방해석, 전기석 등처럼 알맞은 으뜸축이 있고 이에 수직으로 만나되 120도의 각을 이루는 세 축을 써서 결정면을 나타내는 결정 계통.
+모두 보이기...
- 사방정계: 사방-정계【斜方晶系】 [-계/-게][명사]《광업/광물》 세 결정축이 서로 직각으로 사귀며 각각 그 길이가 다른 결정계. 황옥, 유황, 홍석주 따위가 이에 딸린다.
- 정방정계: 정방-정계【正方晶系】 [정:-계/정:-게][명사]《광업/광물》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세 개의 결정축 가운데 두 개는 길이가 같고 다른 하나는 길이가 다른, 결정계의 하나.
- 정방정계의: 4각형의
- 육방: I 육방1 【六方】 [-빵][명사]여섯 방위. 곧 동쪽, 서쪽, 남쪽, 북쪽, 위쪽, 아래쪽.I I 육방2 【六房】 [-빵][명사]조선 때, 승정원과 각 지방 관아에 둔 이방, 호방, 예방, 병방, 형방, 공방.
- 방정: I 방정1 [명사]1 찬찬하지 못하고 몹시 가볍게 하는 말이나 행동.* 그렇게 ~을 떨면 일을 모두 그르친다.2 말이나 행동이 찬찬하지 못하고 가벼운 사람.* "조 ~이 또 그릇을 깨뜨리는군" 하며 마나님은 부엌을 향하여 소리를 질렀다.I I 방정2 【芳情】[명사]꽃답고 애틋한 마음. = 방심1 (芳心). 방지2 (芳志).
- 결정계: 결정-계【結晶系】 [-쩡계/-쩡게][명사]《광업/광물》 결정의 형상을 결정축의 수, 길이, 각 축 사이의 각도에 따라 나눈 것. 등축정계, 육방정계, 정방정계, 사방정계, 단사정계, 삼사정계 등. [준말] 정계3 .
- 정계비: 정계-비【定界碑】 [정:계-/정:게-][명사]《역사》 조선 숙종 38(1712)년 백두산에 세운 조선과 청나라 사이의 경계비.
- 정계항: 정계-항【定繫港】 [정:계-/정:게-][명사]선박을 머무르게 하는 일정한 항구.
- 주정계: 주정-계【酒精計】 [-계/-게][명사]알코올의 함량을 측정하는 액체 비중계.
- 교육방송: 교육-방송【敎育放送】 [교:-빵:-][명사]《교육》 교육 활동에 쓰이는 라디오나 텔레비전 방송.
- 십육방위: 십육-방위【十六方位】 [심뉵빵-][명사]동서남북의 사방을 열 여섯의 방향으로 나눈 방위.
- 육방관속: 육방-관속【六房官屬】 [-빵-][명사]지방 관청의 육방에 딸린 아전들.
- 육방망이: 육-방망이【六방망이】 [-빵-][명사]방망이 여섯을 이용하여 열 두 사람이 메는 상여.
- 육방승지: 육방-승지【六房承旨】 [-빵-][명사]조선 때, 승정원의 육방에 딸린 승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