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문문 뜻
의문-문【疑問文】
[명사]
《언어학》 듣는 이에게 어떤 답을 요구하거나 마음속에 의문을 품어 보는 내용의 문장. 의문형 종결어미로 끝맺는다. = 물음월.
- 반어의문문: 반어-의문문【反語疑問文】 [반:-][명사]《언어학》 문장의 형식은 물음을 나타내나 답변을 요구하지 않고 강한 긍정의 수사적 효과를 가지는 의문문. = 수사 의문문.
- 의문: I 의문1 【疑問】[명사]1 의심하여 물음.2 의심스러운 문제.* ~이 생깁니다.[파생동사] 의문-하다I I 의문2 【儀文】[명사]의식의 표장.
- 위문문: 위문-문【慰問文】[명사]위문하는 글.
- 결의문: 결의-문【決議文】 [-의-/-이-][명사]결의한 내용을 적은 글.* ~ 낭독.
- 소의문: 소의-문【昭義門】 [-의-/-이-][명사]《지리/지학/땅이름》 서울 서남쪽에 있던 서소문의 본 이름. 조선 태조 때 세워 소덕문이라 했다가, 성종 3(1472)년에 이 이름으로 고쳤고, 1914년 헐렸다.
- 의문법: 의문-법【疑問法】 [-뻡][명사]《언어학》 듣는 이에게 어떤 답을 요구하거나 마음속에 의문을 품어 보는 형식으로 문장을 끝맺는 법.
- 의문부: 의문-부【疑問符】[명사]《언어학》 = 물음표(-標).
- 의문사: 의문-사【疑問詞】[명사]《언어학》 물음대이름씨나 마침법의 물음꼴 따위를 통틀어 일컫는 말.
- 의문의: 문제의; 미정의
- 의문형: 의문-형【疑問形】[명사]《언어학》 의문문을 끝맺는 활용형. '-나', '-느냐', '-ㄴ가', 'ㄹ까', '-오', '-ㅂ니까' 따위가 붙는다. = 물음꼴.
- 문문하다: I 문문-하다1 【問問하다】 [문:-][타동사]〖여불규칙〗남의 경사스러운 일이나 슬픈 일에 물건을 보내어 축하하거나 위문하다.I I 문문-하다2 [형용사]〖여불규칙〗1 물러서 부드럽다.* 흙이 ~.2 거리낄 것이 없어 마구 다룰 만하다.* 체격이 작아서 문문해 보이다.*[작은말] 만만하다1 1 2.
- 삼문문사: 삼문-문사【三文文士】[명사]삼류 이하의 문예가.
- 운문문학: 운문-문학【韻文文學】 [운:-][명사]《문학》 일정한 운문의 문장으로 된 작품. 가사 문학을 포함한 시 형식의 문학.
- 의문대명사: 의문-대명사【疑問代名詞】 [-대:-][명사]《언어학》 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대명사. '누구', '무엇', '어디'따위. = 물음대이름씨(-代-).
- 의문부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