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문사 뜻
의문-사【疑問詞】
[명사]
《언어학》 물음대이름씨나 마침법의 물음꼴 따위를 통틀어 일컫는 말.
- 문사: I 문사1 【文士】[명사]1 문학에 뛰어난 선비.2 문필에 종사하는 선비.⇔ 무사3 (武士).I I 문사2 【文事】[명사]학문, 예술 등에 관한 일.I I I 문사3 【文思】[명사]1 글을 짓기 위한 생각.2 글 속에 들어 있는 사상.I V 문사4 【文詞/文辭】[명사]《언어학》1 = 문장1 (文章)1.2 문장에 쓰인 말.V 문사5 【刎死】[명사]스스로
- 의문: I 의문1 【疑問】[명사]1 의심하여 물음.2 의심스러운 문제.* ~이 생깁니다.[파생동사] 의문-하다I I 의문2 【儀文】[명사]의식의 표장.
- 문사극: 문사-극【文士劇】[명사]《연극》 = 문인극(文人劇).
- 삼문 문사: 2류작가
- 신문사: 신문-사【新聞社】[명사]신문을 발행하는 회사.
- 결의문: 결의-문【決議文】 [-의-/-이-][명사]결의한 내용을 적은 글.* ~ 낭독.
- 소의문: 소의-문【昭義門】 [-의-/-이-][명사]《지리/지학/땅이름》 서울 서남쪽에 있던 서소문의 본 이름. 조선 태조 때 세워 소덕문이라 했다가, 성종 3(1472)년에 이 이름으로 고쳤고, 1914년 헐렸다.
- 의문문: 의문-문【疑問文】[명사]《언어학》 듣는 이에게 어떤 답을 요구하거나 마음속에 의문을 품어 보는 내용의 문장. 의문형 종결어미로 끝맺는다. = 물음월.
- 의문법: 의문-법【疑問法】 [-뻡][명사]《언어학》 듣는 이에게 어떤 답을 요구하거나 마음속에 의문을 품어 보는 형식으로 문장을 끝맺는 법.
- 의문부: 의문-부【疑問符】[명사]《언어학》 = 물음표(-標).
- 의문의: 문제의; 미정의
- 의문형: 의문-형【疑問形】[명사]《언어학》 의문문을 끝맺는 활용형. '-나', '-느냐', '-ㄴ가', 'ㄹ까', '-오', '-ㅂ니까' 따위가 붙는다. = 물음꼴.
- 구전문사: 구전-문사【求田問舍】 [-문:-][명사]자기가 부칠 논밭과 살림할 집을 구하는 데만 마음을 쓴다는 말.
- 문사낭청: 문사-낭청【問事郎廳】 [문:-][명사]조선 때, 죄인의 취조서를 작성하여 읽어 주는 일을 맡아보던 임시 벼슬.
- 삼문문사: 삼문-문사【三文文士】[명사]삼류 이하의 문예가.
예문
예문 더보기: 다음>- 홍콩 의문사 15세 소녀 어머니 “딸, 극단적 선택”
- 최근에는 시위 참여자의 의문사 논란까지 일어나며 상황이 심각해지고 있다.
- 우간다 ‘맹수의 왕’ 사자 대거 의문사 골머리
- 김 감독은 김훈 중위 의문사 사건을 추적한 내용의 등 공권력에 피해를 입은 개인들의 목소리에 귀기울여 왔다.
- 고교생 고속도로 의문사 사건을 수사 중인 경북 구미경찰서는 숨진 A군을 폭행한 혐의로 다른 학교 동급생 B군을 입건했다고 15일 밝혔다.